book_cover_img
Dance and Theory pISSN: 2713-7678

Journal Abbreviation : D&T
Frequency : Biannually
Doi Prefix : 10.46577/DAT.
Year of Launching : 2020
Publisher : Department of Dance Theory, School of Da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bout D&T more

Dance and Theory (D&T) is a bi-annual peer-reviewed journal for dance scholarship,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Dance Theory, School of Da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Reflecting our department’s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wide range of subjects, including aesthetics, anthropology, history, science, and arts management, Dance and Theory aims to engage with academic debates on dance and address cross-disciplinary research with a dance perspective. In so doing, the journal intends to stimulate dance discourses across its artistic, educational, and theoretical fields.

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Dance and Theory Vol.10 No.1 pp.103-124
DOI : https://doi.org/10.46577/DAT.2025.10.6

Analyzing the State of Research on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Su-Been Choi*
*Department of Dance Theor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20241215 20241223 2025011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othold for further research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done on ance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over the past 24 years.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a total number of 44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axonomies. Then, we organized the data analysis by dividing each classification tnto subareas. In conclusion, among domesic studies,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moddle-aged women have been continuously studied, but the number is insufficient.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dvanced programs based on various factors among middle-aged women: not only psychological aspects but also physical and social one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reviewing and summariz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and sta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es on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 현황 분석

최수빈*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예술전문사

초록


    Ⅰ. 서론

    여성들에게 중년기는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중년기는 신체적 ․ 생물 학적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인생의 유한성에 대해 인식하면서 회의감을 느끼며 본질적인 자신에 대한 성찰을 시작하는 시기이다(박명희, 2003).

    이뿐만 아니라 중년여성들은 자식들의 독립으로 인해 남편과 둘만의 새로 운 시작을 맞이하고,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의 변화 등 자신의 환경과 신체의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중년 여성들은 깊은 상실감과 함께 심리적인 변화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어머니의 역할로써 오랫동안 생 활해 온 중년여성들은 자식들의 독립으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혼란 을 겪기도 한다.

    중년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에는 대표적으로 갱년기로 인한 호르몬 변화이다(정원임, 2013). 이로 인해 많은 땀을 분비하게 되는데 특히 밤에 발생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수면 장애까지 겪게 된다. 또한 신진대 사의 변화로 체중의 급격한 증가 혹은 감소 현상을 겪게 된다. 이외에도 다 양한 신체적 문제들이 발생한다.

    신체적 증상 외에도 심리적 증상으로는 자식들의 독립을 시작으로 환경의 변화로 인해 여자, 어머니 혹은 아내로서의 역할이 없어졌다고 자각하게 되 면서 불안감과 허무감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자아정체감을 상실하게 된 다. 이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 빈둥지증후군으로, 삶의 의미에 대한 회의와 상실감으로 인한 우울감이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이다(정원임, 2013). 빈둥지증후군이란 어미가 물어다 준 먹이를 먹고 자란 새끼 새들이 스스로 날갯짓해 둥지를 벗어난 후, 텅 빈 둥지 안에 홀로 남겨진 어미새가 느끼는 허전함과 공허함을 나타내는 말이며 다른 말로 폐경기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이호선, 2021). 빈둥지증후군으로 인한 심리적인 문제는 정서적 애착과 관 계의 변화로 인해 단순한 우울감으로 그치지 않고 심각한 우울증으로 발전 할 가능성이 크다.

    이 외에도 중년여성들은 사회적 증상도 겪게 되는데, 앞서 언급한 심리적 증상과 함께 동반되며, 대인관계의 고립감과 남편과의 관계 변화 등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불신이나 신뢰성이 결여되는 증상을 겪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로 인해 중년여성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들이 지속적으 로 연구되고 있다. 중년여성들은 신체적 증상과 더불어 특히 심리적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인간의 감정을 쉽게 드러낼 수 있는 예술은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년여성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박은미(2012)는 미술치료를 사용하였으며, 이주연 (2021)은 연극을 활용하여 중년여성들의 심리적,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외에도 미술, 음악, 무용/동작 치료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연구된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다른 예술분야에 비해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다소 부족한 경향을 보였다. 이로 인해 중년여성과 관련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취합하여 조사 한 후, 분석할 필요성을 느꼈다.

    본 연구는 24년간의 중년여성들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추후에 중년여성들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 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 또한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그러나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검색어를 ‘중년여성’, ‘무용교육’, ‘무용치료’로 한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무용교육 뿐만 아니라 중년여성의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증상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그램으로 확대 연구를 해야 할 것이 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4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모든 연구를 확대 해석하기에 한계가 있다.

    Ⅱ. 연구방법

    1. 문헌 검색

    본 연구는 국내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관련 석 ․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 논문은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24년간 발행된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수집 논문의 출판연도를 2000년부터 2024년도로 한정한 이유는 중년을 대상으로 한 무용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논문이 2000년대부터 나타났기 때문이다.

    연구의 대상자료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인 학술연구정보 서비스(www.riss.kr)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검색 키워드는 ‘중년여성’, ‘무용 교육’, “무용치료” 등으로 설정하였다.

    2. 논문 선정 과정

    문헌 검색 단계에 이어 논문의 포함과 배제 기준에 따라 논문 선정이 이루 어졌다. 논문의 포함기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를 근거로 설정한다. 첫째, 중년여성을 포함한다. 둘째, 무용과 동작 교육 또는 무용치료 프로그램 을 적용한 연구를 포함한다. 셋째, 연구 문제에 따라 중년여성의 신체적 영역 뿐만 아니라 정서적, 사회적 영역의 변인이 포함된 논문으로 제한한다. 본 연구자는 추후 연구에 중년여성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을 모두 포함 하는 무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에 세 개의 영역 중 두 개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 연구들로 선정하였다. 논문의 배 제 기준은 학위논문과 학술지 등재 논문과의 중복 논문을 배제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논문을 선정했다. 최종 선별된 연 구논문은 총 44편으로 나타났다<표 1>.

    표 1

    분석대상 논문 목록

    저자(연도) 논문제목
    1 1 송미숙 (1998) 중년 여성들의 무용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심리적 건강 효과
    2 권의준ㆍ윤현정 (2000) 사회교육무용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3 김수아 (2001) 전통무용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 박지나 (2001)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에 따른 심리적 만족에 관한 연구
    5 고은주 (2003) 중년여성(주부)의 무용활동과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6 임정미 (2004) Floor Barre가 중년여성의 심리적 안정과 신체적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7 조애라 (2004) 중년여성의 한국무용참여에 따른 우울증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8 조현숙 (2004) 무용치료가 중년여성의 자아실현 및 신체움직임 변화에 미치는 효과
    9 류혜정 (2005) 한국무용 참여가 중년여성 우울증 해소에 미치는 영향
    10 공미숙 (2007) 무용치료참여가 중년여성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11 양태순 (2007) 한국무용의 규칙적인 습득이 중년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12 유지영 (2007) 한국무용이 중년여성의 주관적 웰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3 최연화 (2007)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14 공미숙ㆍ정광조 (2008) 한국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 오은성 (2008) 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16 정은선 (2008)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참여가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7 방지민 (2009)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8 이미영 (2009) 한국무용 참여가 중년여성의 동결견(오십견) 예방에 미치는 영향
    19 이효진 (2010) 중년여성의 한국무용활동을 통한 예술적 체험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20 김지현 (2011)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1 범현주 (2011) 중년여성의 사회무용 참여가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22 이수경 (2011) 중년여성들의 한국무용 수행을 통한 해방감의 경험
    23 지정미 (2011) 한국무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중년기 여성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24 은신성 (2012)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목회자부인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25 장은정 (2012)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빈곤층 중년여성의 우울감과 움직임 질적 변화에 대한 연구
    26 임영랑 (2013) 무용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중증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증세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7 황선아 (2013) 예배 무용 프로그램 경험이 중년여성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28 이재연 (2014)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공연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29 조윤정 (2014)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참여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30 최정연 (2015) 중년여성의 궁중무용수행을 통한 자아실현 과정
    31 한송이 (2016) 생활무용으로서의 중년여성들의 한국무용수행경험
    32 정보배 (2017) 중년여성의 우울증 치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33 김리효 (2018) 성인취미발레교육이 중년여성의 갱년기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34 신우정 (2018) 무용기반 통합예술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
    35 김소연 (2021) 중년여성들의 발레필라테스 체험을 통한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36 김혜영 (2021) 탄력밴드를 이용한 무용동작 운동이 중년여성의 심리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37 이희영 (2021) 통합예술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38 이원설 (2022) 중년여성 대상 무용/동작치료 기반 집중명상프로그램의 스트레스 개선 성과
    39 정송희 (2022)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참여에 따른 신체적 존중감과 갱년기 증상의 차이 연구
    40 최애나 (2022) 통합예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자기 이해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41 김밀아리 (2023) 비대면 집단 무용동작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42 김정민 (2023) 중년여성의 자아탐색을 위한 소매틱 무용프로그램 개발
    43 박규리 (2024) 한국무용 참여 중년여성의 신체적 존중감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
    44 전용균ㆍ이지영 (2024) 코로나 블루 회복을 위한 중년 여성의 무용/동작심리치료의 웰니스적 효과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의 논문 44편을 선별하여 총 7개의 분류체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분류는 연구방법, 연구시기, 연구참여자 수, 논문유형, 종속변인, 독립변인, 연구분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분류에 따라 세부적으 로 분류할 하위 영역을 구분하여 자료 분석의 체계를 구성하였다<표 2>.

    표 2

    자료 분석의 분류체계

    구분 대분류 중분류
    1 연구방법별 양적연구
    질적연구
    통합연구
    2 연구시기별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3 연구참여자 수 10명 이하
    10명~20명
    20명~30명
    30명~40명
    40명~50명
    50명 이상
    4 논문유형별 석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전문학술지논문(KCI)
    5 종속변인별 심리적 건강
    신체적 건강
    통합(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등)
    6 독립변인별 한국무용 프로그램
    발레 프로그램
    통합예술 및 동작 프로그램
    7 연구분야별 무용학 분야
    무용교육 분야
    체육교육 분야
    의학 분야
    이 외 분야

    Ⅲ. 연구결과

    1.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첫 번째 분류체계인 연구방법에 따라 총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양적 연구 33편(75%), 질적연구 4편(9.09%), 양적과 질적연구를 모두 사용한 통합 연구가 7편(15.91%)으로 나타났다. 양적연구 33편은 대체적으로 실험연구방 법과 조사연구방법 등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 험연구의 경우 연구자가 개발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조사결과의 비교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 다. 조사연구는 실험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적용과 함께 설문 지나 검사지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들이다.

    질적연구 4편의 경우 구체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문헌연구를 통한 현상학적 기술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방법을 모두 활용한 통합연구 7편을 살펴보면 양적 연구에서는 실험연구와 조사연구, 질적연구에서는 관찰과 면담 및 문헌연구 등을 이용하였다. 실험연구의 경우 무용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조사 결과의 비교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사연구 는 실험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검사지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 들이다. 관찰연구는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직접 관찰하며 관찰일 지를 작성하고. 면담은 연구자가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문헌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문헌 고찰이나 선행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 한 것으로 사용되었다.

    그림 1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DAT-10-1-103_F1.gif

    2. 연구시기별 분석 결과

    두 번째 분류체계인 연구시기에 따라 총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2000 년대 18편(40.91%), 2010년대가 16편(36.36%), 2020년대가 10편(22.73%)으로 나타났다. 연구시기별의 경우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지만 2020년대로 올수록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 램 연구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0년대에 비해 2020년의 연구는 두 배 가까이 줄었으며, 2000년대 초반에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

    연구시기별 분석 결과

    DAT-10-1-103_F2.gif

    3. 연구참여자 수 분석 결과

    세 번째 분류체계인 연구대상에 따라 총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이 10명 이하인 연구가 10편(22.73%), 10명~20명 사이의 연구가 1편 (2.27%), 20명~30명 사이의 연구가 4편(9.09%), 30명~40명 사이의 연구가 4 편(9.09%), 40명~50명 사이의 연구가 2편(4.55%), 50명 이상인 연구가 23편 (52.27%)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 수의 경우 50명 이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논문이 대부분이었으며, 모두 설문지를 사용해 양적 연구 결과를 얻 는 연구였다. 이에 반해 10명 이하의 연구는 모두 소수의 대상에게 프로그램 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실험 결과를 얻는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3

    연구참여자 수 분석 결과

    DAT-10-1-103_F3.gif

    4. 논문유형별 분석 결과

    다섯 번째 분류체계인 논문유형별에 따라 총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석사학위논문이 35편(70.55%), 박사학위논문이 4편(9.09%), 전문학술지논문 (KCI)이 5편(11.36%)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년여성들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석사학위논문에 비해 박사학위논문과 전문학술 지 논문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

    논문유형별 분석 결과

    DAT-10-1-103_F4.gif

    5. 종속변인별 분석 결과

    네 번째 분류체계인 연구변인에 따라 총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심리 적 건강이 32편(72.73%), 신체적 건강이 2편(4.55%), 심리적 ․ 신체적 ․ 사회적 등 통합이 10편(22.73%)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이 심리적 건강인 경우 스트레스, 우울증, 자아실현 등이 있으며, 신체적 건강은 오십견, 신체적 능력 향상이 있다. 통합의 경우 심리적 ․ 신체 적 ․ 사회적 변인 중 두 개 이상이 포함된 연구들이다. 이에 따라 살펴보면 주로 중년여성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집중적으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5

    종속변인별 분석 결과

    DAT-10-1-103_F5.gif

    6. 독립변인별 분석 결과

    여섯 번째 분류체계인 독립변인별에 따라 총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27편(61.36%), 발레 프로그램이 3편(6.82%), 통합예술 및 동작 프로그램이 14편(31.82%)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별에 따르면 발레 프로그램이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비해 매우 적게 사용되었으며, 무용 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 장르와 결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통합예술 프로그램 연구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통합예술 프로그램에는 음악, 미술, 무용 동작 등을 이용하여 진행을 한다. 최애나(2022)는 음악, 미술, 무 용을 모두 응용한 통합예술 프로그램을 중년여성에게 적용하여 통합예술 치 료의 유의미함을 도출해냈다.

    그림 6

    독립변인별 분석 결과

    DAT-10-1-103_F6.gif

    7. 연구분야별 분석 결과

    일곱 번째 분류체계인 연구분야별에 따라 총 44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무용학 분야가 6편(13.64%), 무용교육 분야가 13편(29.55%), 체육교육 분야 가 11편(25%), 의학 분야가 11편(25%), 이 외의 분야가 4편(9.09%)으로 나타 났다. 연구분야별로 분석한 이유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무용학 뿐만 아니 라 다른 연구 분야에서도 진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무용교육 연구의 방향성 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용학과 무용교육학을 분류한 기준은 연구자 의 소속에 따라 나누었다. 체육교육학과 의학을 포함한 이유는 무용교육이 치유와 치료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함께 분류하였다. 의학 에는 심리치료, 재활분야 등 다양한 학과에서 무용교육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분야별에 따르면 무용교육 분야가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을 가장 많이 연구했음을 알 수 있고, 체육교육 분야와 의학 분야에서도 활발히 진행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무용학 분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 예술경영, 국악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두 분야 모두 한국무용이 중년여성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림 7

    연구분야별 분석 결과

    DAT-10-1-103_F7.gif

    Ⅳ. 논의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24년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전문학술지논문(KCI)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등재된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검 색어는 ‘중년여성’, ‘무용교육’, ‘무용치료’로 한정하여 총 44편의 논문을 선 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구방법, 연구시기, 연구참여자 수, 논문유형, 종속변인, 독 립변인, 연구분야로 설정하여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 적연구, 통합 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시기는 2000년대와 2010년 대, 2020년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 수는 10명 이하, 10명~20 명, 20명~30명, 30명~40명, 40명~50명, 50명 이상으로 나누었다. 논문유형은 석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전문학술지논문(KCI)로 나누었고, 종속변인은 심리적 건강, 신체적 건강, 통합(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등)으로 총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독립변인은 한국무용프로그램, 발레프로그램, 통합예 술 및 동작 프로그램으로 나누었으며, 연구분야는 무용학, 무용교육, 체육교 육, 의학, 이 외 분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방법별로 논문을 분석하였을 때 양적연 구로 많이 편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적연구는 대부분 실험연구, 즉 프 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검사지나 척도를 사용하 여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대부분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년여성들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부분에 있어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 나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중년여성들의 다양한 특성들을 고려해, 양적연구 와 질적연구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보다 더 자세하고 구체적인 연구 과정과 결과를 얻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하지만 본 연구자가 선별한 논문 중 질 적연구만을 사용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통합연구도 진행된 수가 양적 연 구에 비해 부족하다. 이는 빠른 시간 내에 결과를 얻기 위해서 양적연구를 사용하거나, 중년여성의 까다로운 특성들을 고려하는 것에 있어 전문적인 지식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결과를 얻는 것을 주로 사용한 것 으로 본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통합연구를 사용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 한 연구방법들을 통해 중년여성들을 위한 짜임새 있는 구체적인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둘째, 연구시기별로 논문을 분석하면, 10년 간격으로 꾸준히 중년여성들 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20년대 로 올수록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수는 줄어들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 연구들이 많이 활성화 되었는데, 이는 2005년 문화예술교 육 지원법이 제정되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생겨나 예술 연구에 대한 지원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은 대부분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교육이기 때문에 일반인을 위한 예술교육과 무용교육 개 발이 더욱 활성화 되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지속적으로 중년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와 대상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활 성화시키고 새로운 것을 고안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연구참여자 수에 따라 논문을 분석하면, 50명 이상으로 편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양적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져 설문지 문항에 비례해 연구 대상자의 수를 설정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와 반대로 연구대상자가 10명 이하의 연구가 다음으로 가장 많다. 이는 실험연구를 진행하면서 심층 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소수로 하여 진행하 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연구자들은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참여자의 적당 한 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무용교육 프로그 램을 위한 연구대상자의 수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기준을 만들어 내는 것은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넷째, 논문유형별로 논문을 분석하면, 석사학위논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인간 수명의 증가와 고령화에 의해 중년기 건강의 중요성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년여성들을 위한 심화되고, 실제 적용 가능한 전문적인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들이 많이 나와야 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석사학위논문이 박사학위논문으로 발전 되거나, 전문 학술지에 등재되는 경우가 적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다른 연구자들이 쉽게 접근 가능하고 함께 발전시키며 전문적인 연구 진행을 위해 무용교육 연구자들이 계속해서 연구를 진행해야 될 필요성을 느꼈다.

    다섯째, 종속변인별로 논문을 분석하였을 때, 심리적 건강이 대부분의 연 구에서 다루어졌다. 중년여성들의 특징 중 심리적 증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에 무용교육을 이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많 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년여성들은 심리적 증상뿐만 아니라 신 체적, 사회적 부분에서도 많은 증상들이 나타나며, 대부분 독립적인 현상이 아니라 심리적 증상과 함께 동반하기 때문에 함께 다뤄져야 할 문제들이다. 특히 중년여성들은 자녀의 독립과 함께 경험하는 우울감과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감정을 쉽게 겪으며, 심리적 위기감과 함께 신체적 변화로 인한 상실 감과 낮은 자존감뿐만 아니라 결혼생활의 갈등까지 연결되는 문제를 겪는다 (손제희·허만세, 2013). 이에 따라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정서, 심리 와 더불어 다른 변인들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독립변인별로 논문을 분석하였을 때,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대부 분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무용이 친숙하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접근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해본다. 또한 배나래(2016)에 따르면 중년기 여성이 한국전통음악과 동 작을 수행함으로써 근육강화와 운동 기능에 도움을 주었고, 자신을 수용하 며 관계 속에서의 고립과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자아실현에도 도움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년 여성들에게 한국무 용 프로그램은 매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장르에 치우치지 않고 통합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 더욱 효과적인 연구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연구분야별로 논문을 분석하였을 때,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골고루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용학 분야에서는 연구가 미비한 편이다. 무용학은 무용을 전문적 으로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전문 무용수들을 위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다 양한 대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무용교육 프로그램들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의학 분야와 함께 무용치료로도 무용교육 프로그램 이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협업을 주장하는 바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함으 로써 중년여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들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지만 그 수는 다른 대상을 위한 연구들에 비해 매우 미비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 자는 중년여성들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필요 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무용교육 종사자들은 중년여성들의 특성을 파 악하고,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틀을 정형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예술과 순수무용이 대두되는 가운 데, 일반인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점에 더욱 프로그램 개발에 몰두 해야 한다.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친숙하게 다가오고, 치료적 목적에도 효과 가 나타난다면 무용교육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년여성들의 대표적인 문제는 심리적 증상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인간의 감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예술이 중년여성에게 효과적이다. 그 중에 서도 중년여성들도 쉽게 비언어적 언어인 몸으로 표출할 수 있는 무용은 교 육 프로그램에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논문들에 따르면 대부분 중년여성의 심리적 증상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 라 중년여성들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함께 언 급을 하였다. 그러므로 중년여성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프로그램의 틀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전문가들의 프로그램 개발이 진행되면 많은 교육 자들이 이를 기반으로 무용교육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많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논문 중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연구만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적연구는 연구 결과를 객관화 하는데 장점이 있지만, 깊은 고찰을 하기에는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양적연구와 질적연 구를 함께 진행하는 통합연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무용학 분야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무용교육을 개발하고 있다. 무용 전문가들의 연구도 증가되어야 할 뿐만 아 니라 다른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효과적이고,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계속적 으로 나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치유, 치료의 목적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의학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프로그램 개발에 협력하면 심화된 프로그램들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사용될 것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운 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연구 대상자인 중년여성의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무용 프로그램 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의 발판이 될 것이며, 분석 현황에 따 라 짜임새 있는 무용교육 프로그램들이 생겨날 것을 연구의 의의로 둔다.

    Figure

    DAT-10-1-103_F1.gif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DAT-10-1-103_F2.gif

    연구시기별 분석 결과

    DAT-10-1-103_F3.gif

    연구참여자 수 분석 결과

    DAT-10-1-103_F4.gif

    논문유형별 분석 결과

    DAT-10-1-103_F5.gif

    종속변인별 분석 결과

    DAT-10-1-103_F6.gif

    독립변인별 분석 결과

    DAT-10-1-103_F7.gif

    연구분야별 분석 결과

    Table

    분석대상 논문 목록

    자료 분석의 분류체계

    Reference

    1. 고은주 ( 2003). 중년여성(주부)의 무용 활동과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 공미숙 ( 2007). 무용치료 참여가 중년여성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한국무용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3. 공미숙・정광조 ( 2008). 한국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 술심리치료연구, 4(2), 199-225.
    4. 권의준・윤현정 ( 2000). 사회교육 무용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목원대 학교 자연과학연구소, 9(1), 61-64.
    5. 김리효 ( 2018). 성인취미발레교육이 중년여성의 갱년기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밀아리 ( 2023). 비대면 집단 무용동작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7. 김소연 ( 2021). 중년여성들의 발레필라테스 체험을 통한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8. 김수아 ( 2001). 전통무용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소재 K대학 사회교육원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9. 김정민 ( 2023). 중년여성의 자아탐색을 위한 소매틱 무용프로그램 개발 -학령기 자녀를 둔 전업 주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10. 김지현 ( 2011).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 학교 교육대학원.
    11. 김혜영 ( 2021). 탄력밴드를 이용한 무용동작 운동이 중년여성의 심리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12. 류혜정 ( 2005). 한국무용 참여가 중년여성 우울증 해소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 교 교육대학원.
    13. 박규리 ( 2024). 한국무용 참여 중년여성의 신체적 존중감과 심리적웰빙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4. 박명희 ( 2003). 중년기 여성의 실존적 영적안녕과 희망, 자아힘돋우기(self-empowerment). 한국간 호교육학회지, 9(2), 222-233.
    15. 박은미 ( 2012).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 향. 미술치료연구, 19(6), 1481-1501.
    16. 박지나 ( 2001).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여에 따른 심리적 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17. 방지민 ( 2009).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8. 배나래 ( 2016). 중년기여성의 문화복지로서 한국무용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2), 186-192.
    19. 범현주 ( 2011). 중년여성의 사회무용 참여가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평 생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 손제희・허만세 ( 2013).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에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사회과학 연구, 29(2), 155-178.
    21. 신우정 ( 2018). 무용 기반 통합예술 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2. 양태순 ( 2007). 한국무용의 규칙적인 습득이 중년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구-건강관련 체력과 혈중지질 변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3. 오은성 ( 2008). 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 육대학원.
    24. 유지영 ( 2007). 한국무용이 중년여성의 웰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 교 일반대학원.
    25. 은신성 ( 2012).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목회자부인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동서보완 의학대학원.
    26. 이미영 ( 2009). 한국무용 참여가 중년여성의 동결견(오십견) 예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7. 이수경 ( 2011). 중년여성들의 한국무용 수행을 통한 해방감의 경험.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28. 이원설 ( 2022). 중년여성 대상 무용/동작치료 기반 집중명상프로그램의 스트레스 개선 성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9. 이재연 ( 2014).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공연 참요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30. 이주연 ( 2021). 중년여성들의 공동활동에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 연구 극단 ‘아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31. 이효진 ( 2010). 중년여성의 한국무용활동을 통한 예술적 체험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32. 이희영 ( 2021). 통합예술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술, 음악, 무용-동작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33. 임영랑 ( 2013). 무용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중증 우울증 중년여성의 우울증세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34. 장성화・이주연 ( 2021). 무용동작치료 연구동향 분석: 2010년~2020년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무 용동작심리치료연구, 5(1), 71-86.
    35. 장은정 ( 2012).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빈곤층 중년여성의 우울감과 움직임 질적 변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36. 전용균・이지영 ( 2024). 코로나 블루 회복을 위한 중년 여성의 무용/동작심리치료의 웰니스적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9(1), 105-110.
    37. 정보배 ( 2017). 중년여성의 우울증 치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정신건 강, 생활만족의 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38. 정송희 ( 2022).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참여에 따른 신체적 존중감과 갱년기 증상의 차이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39. 정원임 ( 2013). 중년여성의 빈둥지증후군 극복을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40. 정은선 ( 2008). 중년여성의 한국무용 참여가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41. 조애라 ( 2004). 중년여성의 한국무용참여에 따른 우울증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42. 조윤정 ( 2014). 중년여성의 한국무용참여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43. 조현숙 ( 2004). 무용치료가 중년여성의 자아실현 및 신체움직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44. 지정미 ( 2011). 한국무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중년기 여성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 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45. 최애나 ( 2022). 통합 예술 치료가 중년여성의 자기 이해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 료연구, 18(4), 207-222.
    46. 최연화 ( 2007).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47. 최정연 ( 2015). 중년 여성의 궁중무용수행을 통한 자아실현 과정.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48. 한송이 ( 2016). 생활무용으로서의 중년여성들의 한국무용 수행 경험.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49. 황선아 ( 2013). 예배 무용 프로그램 경험이 중년여성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50. 아르떼.www.archives.go.kr (검색일: 2024년 12월 13일).
    51. 정신의학신문, 이호선 ( 2021). www.psychiatricnews.net (검색일: 2024년 9월 21일).

    저자소개

    Foot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