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1인 가구는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의 약 33%를 차지하였다 (김리영, 박길환, 2023). 1인 가구는 가족의 지원과 상호작용이 부족해 정신 건강에 취약하며, 이는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박민진, 김성아, 2022). 또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상대적으로 낮아 다인 가구에 비해 고립과 단절을 더 많이 겪으며, 이러한 경험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지영, 박현숙, 2022).
스트레스는 심리적·신체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생리적 반응으로, 생체 내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특정 증상으로 정의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의 환경과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대처할 가능성이 높아 정 신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진인화, 전희정, 2014). 가족은 이 러한 사회적 지지의 핵심적인 원천으로,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 결혼한 사람들은 미혼자에 비해 더 큰 행복감을 느끼고 우울 증상이 적 은 경향을 보인다(Olson & Olson-Sigg, 2007). 이처럼 높은 사회적 지지는 삶 의 질 향상과 정신 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사회적 지지 가 부족하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Levey et al., 2002).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정신 건강이 열악한 경향을 보이며, 사회 참여율이 낮고 우울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송남경, 박혜경, 노진선, 2019). 또한,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 역시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화진, 김경신, 2015). 특히 최근에는 1인 가구 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낮은 사회적 지지 환경에서 높은 불안과 우울 수 준을 보이는 사례가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지원이 요구된다.
1인 가구의 우울과 불안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이들의 삶과 정서를 깊이 있게 고찰해왔다. 김수정(2010)은 주거 불안이 1인 가구의 정신적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으며, 노혜진(2018)은 사회적 우울이 이들의 고립감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박민 진과 김성아(2022)는 사회적 고립이 1인 가구의 심리적 불안과 우울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1인 가구의 불안과 우울이 다차원적인 요인에서 기인함을 시사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예술적 접근을 탐구하고 있다. 미술, 음악, 무용 및 동작과 같은 예술 분야는 정신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효과적이며, 이들 각각의 접근법을 통합하여 적용한 프로그램이 특히 주 목받고 있다(김소연, 원희랑, 2024;문서란, 이승윤, 주은혜, 2023;박상미, 2021;류분순, 2023;주자경, 2023). 이러한 방식은 통합예술치료로 불리며, 두 가지 이상의 예술적 요소를 결합하여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치료적 접근 이다(김용수, 2002). 그중에서도 음악 감상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간 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음악은 감정 조절, 긴장 완화,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음악 감상 프로그램이 다양한 집단에서 스트레스 해소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다는 연 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서현정(2006)의 연구는 대학 입시를 앞둔 고등학생들에게 음악 감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스트레 스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황은영(2012)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따라 음악 활동과 음악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며, 음악 감상이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 구들은 음악 감상이 다양한 연령층과 집단에서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강조하며, 음악을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예술치료의 일환으로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앰비언트 음악은 주로 환경의 분위기와 느낌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음악 장르로, 전통적인 음악 형식보다 음향 의 질감과 분위기를 강조한다. Brian Eno(1978)는 앰비언트 음악을 "장소를 위해 만들어진 음악"이라고 정의하며, 청취자가 음악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 으면서도 그들의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앰비언트 음 악은 주로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변화를 통해 차분함과 안정감을 제공하며, 청취자를 이완 상태로 유도한다(Biswas, 2019). 앰비언트 음악의 자연 소리 (예: 물소리, 바람 소리)와 전자음이 결합한 음색은 심리적 안정 효과를 강화 하며, 공간감과 여운을 중요하게 다루어 청취자가 특정 장소나 분위기를 경 험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Gatti, 2007). 특히 앰비언트 음악은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 감상에서 클래식이나 뉴에이지 음악과 차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앰비언트 음악은 전통적인 음악 구조를 따르 지 않고, 비리듬적이며 비내러티브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는 청취자의 집중 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심리적 긴장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며(Eno, 2004), 클래식 음악의 복잡한 구조나 뉴에이지 음악의 감정적 기복과는 대조적이 다. 둘째, 앰비언트 음악은 배경음악으로 설계되어 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우 러지며, 청취자에게 부담 없이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Till, 2017). 클래 식 음악은 강한 감정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뉴에이지 음악은 특정 감정 적 테마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지만, 앰비언트 음악은 감정적으로 중립적이 다. 이는 감각적 자극을 최소화하고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다(Szabo, 2021). 셋째, 앰비언트 음악은 자연의 소리와 전자음을 결합하여 심리적 안 정감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Gatti, 2007). 자연음이 제공하는 심리적 이완 효 과는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뉴에이지 음악의 특정 스타일이나 클래식 음악의 전통적 요소가 제공하기 어려운 특성이다.
음악 감상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은 신체적 움직임과 음악적 경험을 통합하여 심리적 및 신체적 이점을 제공하는 접근법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Van Criekinge 등(2021)은 음악 감상과 동작을 결 합한 프로그램이 심리적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 다. 참가자들은 음악에 맞춘 느리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수행하였으며, 이러 한 활동이 심박수와 혈압을 낮추고 긍정적인 감정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Cox(2016)의 연구에서는 음악을 활용한 동작 프로그램이 우울증 환자 의 정서 상태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과 동작의 결합이 신체적 표현을 촉진하고 우울한 정서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데 효과적임을 밝혔다. Madalozzo(2019)는 음악 감상과 신체 움직임이 감정 조 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를 통해, 음악과 동작을 통합한 활동이 스트 레스와 불안을 줄이고, 특히 감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밝혔다. Clark(2016)은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 감상과 부드러운 동작을 결합 한 프로그램이 인지 기능과 신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은 기억력 향상, 균형감각 강화 및 신체적 유연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Porges 및 Furman(2011)의 연구는 PTSD 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신경계의 긴장 완화와 스트레스 반응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 은 음악 감상과 동작의 결합이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스트레스 관리, 우울증 완화, 감정 조절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음악이 인간의 정서적, 신체적,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들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클래식이나 뉴에이지 음악의 구조와 형식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러나 음악 장르의 다양화와 전자음악 기술의 발전 에도 불구하고, 전자음악을 활용한 예술 치료 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앰비언트(Ambient) 음악이 새로운 유형 의 명상음악으로써 인간의 정서적·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 고자 하며, 이를 통해 앰비언트(Ambient) 음악과 동작이 결합한 예술치료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치료 목표에 맞는 구체적인 구현 방법과 활용방안을 제시 함으로써 임상에서 앰비언트(Ambient) 음악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2. 연구 가설
본 연구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 상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반응인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스 트레스 완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째,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은 1인 가구의 스트레스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것이다.
둘째,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은 1인 가구의 불안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것이다.
셋째,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은 1인 가구의 우울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것이다.
이러한 연구 가설을 통해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 그램의 심리적 중재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에서는 모든 연구 대상자들에게 연구 목적과 절차를 충분히 설명 한 후, 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자들로부터 서면 동의서를 작성 및 제출받았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중, SNS를 통해 프로그램의 목 적과 취지를 상세히 안내받고 이를 이해한 후 자발적으로 참여를 신청한 사 람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설문지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할 수 있으며, 연구 목적에 동의한 12명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대상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별, 연령, 학력, 종교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7 ± 3.5세로, 20대 2명, 30대 6명, 40대 4명으로 분포되었다. 성별은 남성 7명, 여성 5명으로 분포되었으며, 학력 수 준은 고등학교 졸업자가 2명, 대학 졸업자가 8명, 대학원 이상 졸업자가 2명 으로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불교 2명, 개신교 4명, 천주교 3명, 무종교 3명으 로 조사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n=12)
명 | % | ||
---|---|---|---|
|
|||
성별 | 남 | 7 | 60 |
여 | 5 | 40 | |
나이 | 20~29세 | 2 | 16.7 |
30~39세 | 6 | 50 | |
40~49세 | 4 | 33.3 | |
학력 | 고졸 | 2 | 16.7 |
대졸 | 8 | 66.6 | |
대학원 이상 졸 | 2 | 16.7 | |
종교 | 불교 | 2 | 16.6 |
개신교 | 4 | ||
천주교 | 3 | 33.4 | |
무교 | 3 | 2525 |
2. 절차 및 프로그램
가. 연구 절차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은 2024년 4월 1일부 터 4월 22일까지 매주 1회씩 총 4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서울시 논현동에 위치한 SG정신건강의학과 예술치료센터에서 진행되었으며, 참여 시간은 매주 오후 7시 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회기당 약 90분 동안 진행되 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수준을 측정하였고, 총 4회기의 프로그램이 종료된 직후 동일한 항목을 다시 측정하여 변화 양상 을 분석하였다.
실험 진행의 Flow Chart는 <그림 1>과 같다.
나.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
(1)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음악 감 상 프로그램으로, 긴장을 완화하고 내면 성찰을 촉진함으로써 비합리적인 사고를 개선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에 사 용된 음악은 연구자가 긴장 완화와 심상 유도를 위해 제작한 앰비언트 음악 으로, 대상자의 필요와 연구 목적에 맞게 음악적 요소를 조정하여 효과적인 음악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각 회기의 프로그램 구성은 동일하게 유지되었 으며, 4회기 동안 음악 감상 곡만 변경되었다. 각 1회의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표 2> 각 1회기의 프로그램의 단계별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표 2
프로그램 구성
(2) 전자음악 장비와 적용된 Mixing 기술
전자음악을 플레이할 때 믹싱 기술은 음향의 균형을 유지하고 곡 간의 매끄러운 전환을 위해 필수적이다. 다양한 음향 요소들(베이스, 멜로디, 리 듬, 이펙트 등)의 음량과 주파수를 조정해 청중이 모든 소리를 조화롭게 들 을 수 있도록 하며, 속도(BPM)와 키(Key)를 맞추어 곡 간의 자연스러운 트랜 지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양한 이펙트를 활용해 독창적인 표현을 더하 고, 청중의 반응에 따라 음악의 흐름을 조절하여 몰입감을 강화할 수 있다. 더불어, 재생 환경에 따른 음향 차이를 보완해 최적의 사운드를 제공함으로 써 전자음악의 품질과 감각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자는 제작한 앰비언트 음악을 EQ-ing, Phase mixing, Harmonic mixing, Beat mixing 의 기술을 활용하여 실험 현장에서 직접 Mixing을 진행하여 들려주었으며 사용된 기술을 정리한 표는 <표 3>에 제시하였다.
표 3
전자음악 플레이에 적용된 mixing 기술
EQ-ing | 믹서의 주파수 대역(High, Mid, Low) 노브와 페이더를 조 작하여 각 음역에서 들리는 악기 소리를 의도에 맞게 조정 하고 음악의 전체적인 흐름을 구성하는 데 활용된다. |
Phase mixing | 곡의 마디 수를 파악하여 구성을 이해한 뒤, 이를 기반으로 Mixing 하는 기술로 가장 안정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방법 이다. |
Harmonic mixing | 곡들의 key 차이를 최소화하거나 관계 조를 사용하여 연결 하는 방식으로 불협화음이나 트랙 간의 충돌을 줄여 부드 러운 Mixing을 가능하게 한다. |
Beat mixing | 두 곡의 박자를 동기화하여 시간과 위상이 일치하도록 하 는 기술로, 박자가 정확히 맞춰지면서 곡들의 전환이 매끄 럽게 이도록 한다. |
<표 3>은 전자음악 플레이에 적용된 mixing 기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 하고 있다.
프로그램에서 전자음악 믹싱에 사용된 장비는 Pioneer CD-XDJ-RX 모델 로, 해당 장비의 사진은 <그림 2>에 제시하였다.
(3) 앰비언트 음악제작
연구자는 오디오 이펙트를 활용하여 총 4곡의 앰비언트(Ambient) 음악, Dreamlike 1, Dreamlike 2, Dreamlike 3, Dreamlike 4를 제작하고 이를 실험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첫 번째 곡인 Dreamlike 1의 제작 과정과 음악 형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룬다.
① 자작곡 ‘Dreamlike 1’의 소개 및 분석
Dreamlike 1은 어두운 숲속에서 꿈을 꾸는 듯한 느낌을 환영적으로 표현한 앰비언트(Ambient) 장르의 곡이다.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보컬로 시 작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화성 진행과 반복적인 오스티나토 (Ostinato)를 활용해 안정감을 주고 음악적 내면 여행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표 4>. 특히, 곡 전반에 걸쳐 피아노의 c-minor 선율이 반복적으 로 나타나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오스티나토와 배경에 섞인 자연 소리의 조화가 몽환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음악을 통해 심상을 끌어내고 내면적 사색을 유도하도록 설계되었다.
<표 4>는 ‘Dreamlike 1’의 장르, 조성, 박자, 템포를 나타낸다.
② 악기 트랙 설정 및 구성
자작곡 Dreamlike 1에서는 Kick, Percussion, Hat, Snare, Uplifter, Downlifter, Nature Background Sound, Piano1, Piano2, Piano3, Bass, Vocal 등 다양한 악기 를 활용하여 곡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림 3>.
③ 드럼 샘플(Drum Sample) 처리
자작곡 Dreamlike 1에서 드럼 샘플은 곡의 리듬을 담당하며, 킥(Kick), 퍼 커션(Percussion), 하이햇(Hat), 스네어(Snare)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 다. 드럼 샘플은 겹치거나 교차하는 구간에서 부자연스러운 소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페이드 인(Fade In)과 페이드 아웃(Fade Out)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드럼 샘플의 시작과 끝부분에 페이드 인과 페이드 아웃을 적용하여 두 샘플이 자연스럽게 연결 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음향의 연속성을 유 지할 수 있었다. 적용 사례는 <그림 4>에 제시되어 있다.
④ 베이스(Bass) 트랙 설정
베이스(Bass)는 곡의 저음을 담당하며, 곡 전체의 분위기와 깊이를 형성하 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Dreamlike 1에서는 풍부하고 깊이 있는 저음을 구현하기 위해 Sub Bass 계열의 베이스를 활용하여 곡에 두꺼운 저음을 더하 였다. 특히, 이 곡은 앰비언트(Ambient) 장르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베이스 연주법을 최소화하고, 근음(음의 기초가 되는 음)을 중심으로 구성하 여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음향을 강조하였다. 적용 예시는 <그림 5>와 같다.
⑤ 자연의 배경음(Nature Background Sound) 트랙 처리
곡 Dreamlike 1에서는 자연의 배경음(Nature Background Sound)을 활용하 여 곡의 몰입감을 한층 더 높였다. 특히 새소리는 곡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만드는 데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청각적으로 편안하고 생동감 있는 배 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하지만 원본 새소리 샘플이 다소 인위적인 느낌을 주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리버브(Hybrid Reverb)를 적용하여 음향 을 넓게 퍼뜨림으로써 새소리가 넓은 공간에서 울리는 듯한 입체적인 효과 를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공간감을 형성하고 곡의 분위기를 강 화할 수 있었다. 적용 사례는 <그림 6>에 제시하였다.
3. 측정 도구와 자료 분석
가. 스트레스 지수(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 측정 도구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심리적 건강 측정 도 구인 PWI-SF의 단축형을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Goldberg(1978)의 건강 측 정 도구를 기반으로 장세진(2000)이 개발한 것이다. 총 18개의 문항으로 구 성되며, 각 문항은 0점에서 3점까지의 4단계로 구분되어 있고 스트레스 수준 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게 나타난다.
나. 불안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 측정 도구
대상자의 불안 수준은 Spielberger(1972)의 척도를 기반으로 김정택(1970)에 의해 재구성된 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ety Inventory : STAI-X-2)를 사용하 였다. 총 2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 평가되고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게 나타난다.
다.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측정 도구
대상자의 우울 수준 측정을 위해 Beck(1961)이 개발하고 한홍무 등(1986) 이 번역한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사용하였다. 문 항은 총 21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항은 0점에서 3점까지의 4단계 척도 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게 나타나며, 점수 범위는 0점에서 63점까지이다.
라. 자료 분석
모든 조건에서의 결과들은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제시하였다. 통계 분석은 GraphPad Prism 프로그램(Ver. 8, GraphPad Prism Software Inc., LaJolla, USA) 을 사용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 척도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의한 차이는 P < 0.05에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참여 전 대상자들의 정서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스트레스, 불안, 우울 수준을 측정하였다.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의 참여 전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점수는 23.42점, 표준편차는 3.40점이었고, 불 안 점수는 40.08점, 표준편차 4.35점이었으며 우울 점수는 15.17점, 표준편차 는 5.41점이었다 <표 5>.
표 5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수준
평균 | 표준편차 | |
---|---|---|
|
||
스트레스(PWI-SF) | 23.42 | 3.40 |
불안(STAI) | 40.08 | 4.35 |
우울(BDI) | 15.17 | 5.41 |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1. 본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대상자들의 사회·심리적 건강지표(PWI-SF) 수 준의 변화
프로그램에 참여 전 대상자들의 심리 사회적 건강지표인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23.42점, 표준편차 3.40점으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 종료 후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17.58점, 표준편차 1.85점으로 나타나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음을 보여 준다(p<.001, <표 6>, <그림 7>).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를 <표 6>과 <그림 7>에 각각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표 6
본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
Mean | SD | P | |
---|---|---|---|
|
|||
참가 전 | 24.20 | 3.75 | 0.001 |
참가 후 | 17.58 | 1.85 |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본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평균적인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p<.001).
2. 본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대상자들의 불안 수준(STAI)의 변화
프로그램에 참여 전 대상자들의 불안 점수는 평균 40.08점, 표준편차는 4.35 점이었으나, 프로그램 참여 후에는 불안 점수가 31.08점, 표준편차 4.11 점으로 감소하였다(p<.001, <표 7>, <그림8>). 불안 수준의 변화를 <표 7>과 <그림 8>에 각각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본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에 따른 불안 척도(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STAI의 평균적인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p<.001).
3. 본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대상자들의 우울 수준(BDI)의 변화
프로그램 참여 전의 대상자들의 우울 점수는 평균 15.17점, 표준편차는 5.41점이었으나, 프로그램 참여 후에는 우울 점수가 11.83점, 표준편차는 4.65점으로 감소하였다(p<.001, <표 8>, <그림 9>). 우울 수준의 변화를 <표 8>과 <그림 9>에 각각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표 8
본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대상자들의 우울 수준의 변화
Mean | SD | P | |
---|---|---|---|
|
|||
참가 전 | 15.17 | 5.41 | 0.001 |
참가 후 | 11.83 | 4.65 |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본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에 따른 벡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BDI의 평균적인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p<.001).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이 스트레 스,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을 증진 시 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실천적 근거를 제 시하고자 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GraphPad Prism 프로그램(Ver. 8, GraphPad Prism Software Inc., LaJolla, USA)을 사용하여 스트레스, 불안, 우울 척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스트레스 점수는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이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앰비언트 음악은 긴장을 이완시키고 심상을 유도하여, 정해진 구조 없이 자유롭게 감정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스트레스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며, 현실에서 잠시 벗어나 음악 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카타르시스가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앰비언트 음악이 청취자의 주의를 과도 하게 끌지 않으면서도 정서적 이완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Eno(1978)의 연구와 일치한다. Eno(1978)는 앰비언트 음악이 특정한 감정적 반응을 유도하기보다는 배경음악으로서의 기능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를 촉 진하는 특성을 강조한 바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스트레스 관리에서 음악의 효과를 입증한 선행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민서(2014)의 메 타분석 연구 또한 음악치료가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완 화하는 데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다고 결론지었다. 박현경과 이주영(2015)의 연구는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중재 도구로 음악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하며,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심상 유도 음악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관련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임이 랑 등(2024)은 자극적인 음악과 춤 동작 활동이 1인 가구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음을 보고하며, 음악과 동작의 결합이 스트레스 감소 등의 정서적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아울러, 김상철과 권은영(2021)의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동작 및 집단음악치료 프로그 램이 스트레스와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보고하 였다. 이는 음악과 동작의 통합적 접근이 다양한 연령대에서 스트레스 관리 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선행 연구는 음악과 동작 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적·생리적 반응을 조절하는 데 효과적인 중재 도구임을 강조하며, 심리치료와 심상 유도 기법 등 다양한 치료적 접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불안 수준은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음악 감상이 불안 감 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악의 정서적 자극과 신체 움직임 의 심리적 해방 효과를 결합한 프로그램이 심리적 불안과 긴장을 완화하고, 정서적 조절 능력을 향상시켜 불안 반응을 줄이는데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불안 완화에 효과적이 라는 선행 연구들과 일치하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임이랑 등(2024)은 자 극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불안 완화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으 며, 특히 음악을 춤동작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는 매개체로 활용하여 참여 자의 심리적 안정과 신체적 표현을 동시에 촉진하였다. 또한, 정진협(2019) 은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동작 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 여 불안 감소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동작 활동은 신체적 해방감을 제공하고 불안을 유발하는 긴장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음악과 동작을 활용한 접근이 불안 감소에 기여했음을 뒷받침 하며, 음악과 동작이 결합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더욱 강조한다.
이처럼 선행 연구들은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심리적 불안과 긴장을 완화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특 히, 동작은 신체 활동을 통해 내재된 긴장을 해소하며, 음악은 정서적 자극과 심리적 안정감을 동시에 제공하여 상호 보완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 가능하며,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촉진 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음악과 동작의 통합적 접근 이 불안 완화와 심리적 안정에 효과적임을 확인하며, 두 요소가 상호 보완적 인 도구로 작용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심리치료 및 스트 레스 관리 프로그램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우울 수준은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음악 감상이 우울 감소에 긍정적 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활동이 우울 감 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다룬 연구들은 다양한 연령층과 상황에서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규은과 최의순(1999)의 연구에서는 율동적 동작 프로 그램을 우울 성향을 가진 중년 여성에게 적용한 결과, 정서적 건강이 유의미 하게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음악을 활용한 동작 프로그램이 우울 감소와 정서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음악과 동작이 결합할 경우 이러한 효과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강이(2006)는 율동적 동작 프로그램이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 우울, 그리고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감소와 함께 수면의 질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작 활동이 심리적 안정뿐만 아 니라 신체적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음악과 동작의 결합이 정서적 회복과 심리적 안정에 효과적임을 뒷받침한다. 또한, 정찬영과 박경화(2018)의 연구에서는 집단 춤 동작 치료가 노인의 우울 감소 와 함께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집단 내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은 동작과 음악의 결합이 개인의 심리적 회복과 정서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밖에도,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 어 왔다. 이숙정과 김영연(2009)은 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이 유아의 자기 효능감과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 였으며, 고정리(2014)는 음악적 리듬이 동작을 조율함으로써 참여자의 창의 성과 표현력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연구들은 음악과 동작의 상호작용이 단순히 두 가지 요소의 결합에 그치지 않고, 심리적 안정 과 신체적 조화를 동시에 증진시키는 중요한 매개체임을 시사한다.
동작 활동과 음악은 신체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움직임이 마음의 상태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는 전제에 기반한다. 그리고 신체와 정신의 통 합적 표현을 통해 건강한 신체와 정신 건강을 유지하고, 저하된 기능을 회복 하도록 돕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특히, 신체 움직임은 의식적이거나 무의식 적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을 감소 시키는 데 효과적일 뿐 아니라,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는 데도 기여한다. 이러한 다방면의 긍정적 효과는 동작 활동과 음악의 융합이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촉진하는 유용한 중재 방법임을 뒷받침한다.
넷째, 본 연구는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1인 가구의 스트레스, 우울, 불안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앰비언 트 음악의 특성과 동작 활동의 심리적·신체적 효과가 상호작용하여 정서적 안정감과 자기 인식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앰비언트 음악은 공간적이고 몽환적인 음향 특성으로 청각적 몰입감을 제공하며, 반복적이고 안정적인 화성과 자연 배경음을 통해 참여자들이 심리적 긴장을 완화하고 내면적 탐구를 가능하게 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된 Dreamlike 시리즈는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구성으로, 1인 가구가 흔히 경험하는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진정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동작 활동은 신체를 이용한 표현을 통 해 억압된 감정을 해소하고, 스스로의 신체 감각에 집중함으로써 자기 인식 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동작 활동은 프로그램 참여자 간 간접적 인 상호작용 기회를 제공하여 1인 가구가 겪는 정서적 고립감과 사회적 단절 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접근은 1인 가구 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가족이나 가까운 사회적 네트워크의 부재로 인한 정서적 취약성을 보완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 활동을 활용한 치료적 접근이 단순히 정서적 안정뿐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단순히 증상 완화를 넘어서, 정서적 회복력을 강화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탐구를 유도하며, 장기적으로는 개인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앰비언트 음악의 특징을 활용한 전자음악을 적용하여 긴장 을 이완하고 심상을 유도함으로써 무의식 속에서 카타르시스 경험을 촉진하 고, 이를 통해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존 음악치료 연구에서 주로 클래식이나 뉴에이지 음악과 같은 제한된 장르가 사용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컴퓨터 기반 전자음악을 활용하여 음악의 요소들을 분리하고, 긴 장 이완과 심상 유도의 음악적 특징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전자음악의 치료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자음악은 어쿠스틱 악기나 실제 녹음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새로운 소리를 활용함으 로써, 긴장을 완화하고 심상 유도를 통해 내면 성찰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의 음악치료 방법을 확장하는 동시에, 전자음 악이 제공하는 독창적인 음향적 특성이 치료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의 개인적 일정과 참여자 모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본 연구의 중재가 4회기로 설계되었다. 이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즉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원인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대응을 깊이 있게 다루기에는 회기 수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 서는 장기간의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을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조군이 없고, 참여자가 12명으로 표본이 작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 간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 를 더욱 명확히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비교 연구가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을 결합한 예술치료의 효과 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다른 음악 장르와 동작 결합 프로그램과의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앰비언트 음악의 효과를 특정 맥락에서 검증하는 데 유용했으나, 다양한 음악 장르와 동작 결합의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음악 장르와 동작 결합 프 로그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의 고유한 효과를 보다 명확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앰비언트 음악과 동작 프로그램이 스트레 스,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특히, 동작이 신체 움직임을 표현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치료적 도구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주었으며, 앰비언트 음악이 정서와 신체를 자극하여 긴장을 이완시키고 심상을 유도하여 신체적, 정신적 결함을 치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자음악과 동작 을 결합한 다양한 음악치료 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나아가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한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도 유용하게 적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