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_cover_img
Dance and Theory pISSN: 2713-7678

Journal Abbreviation : D&T
Frequency : Biannually
Doi Prefix : 10.46577/DAT.
Year of Launching : 2020
Publisher : Department of Dance Theory, School of Da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bout D&T more

Dance and Theory (D&T) is a bi-annual peer-reviewed journal for dance scholarship,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Dance Theory, School of Da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Reflecting our department’s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wide range of subjects, including aesthetics, anthropology, history, science, and arts management, Dance and Theory aims to engage with academic debates on dance and address cross-disciplinary research with a dance perspective. In so doing, the journal intends to stimulate dance discourses across its artistic, educational, and theoretical fields.

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Dance and Theory Vol.10 No.1 pp.51-71
DOI : https://doi.org/10.46577/DAT.2025.10.4

Pilates Program for Improving Thoracic Mobility

He Rim Jun**
**Adjunct Professor, Kookmin University Instructo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 본 연구는 연구자의 2018년 박사학위논문, 2021년 학회지 논문 중 일부 내용을 수정·보 완한 것임


20241211 20241223 20250106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a Pilates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oracic mobility in ballet dancers and explores its potential application for public health promotion. The research focuses on two main aspects: 1)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researcher's 2018 doctoral thesis, which outlines a four-stage approach emphasizing feedback from dancers and experts. 2) The potential for public application, drawing from a 2021 study that applied the program to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ilates on fitness and health perception.



By demonstrating the progression from dancers' health management to public wellness promotion, this research aims to bridge the gap between specialized dance training and public health, offering insights into the broader applications of dance-inspired fitness programs.



흉추가동성 향상 필라테스 프로그램*
무용수에서 일반인으로의 확장

임준희**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전공 겸임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이론과 강사

초록


    Ⅰ.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발레 무용수를 위한 흉추가동성 향상 필라테스 프로그 램의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이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무용 교육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으로 확장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자의 2018년 박사학위 논문에서 개발된 발레 무용수의 요추 통 증 예방을 위한 흉추가동성 증진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 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연구자 준비, 목표설정, 계획안 구성 및 타당도 검 증, 프로그램 개발의 4단계로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발레 무용수와 전문 가 집단의 피드백을 수렴하여 프로그램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2021년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운동으로서 무용과 필라테스의 대중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 하였다. 특히 필라테스가 기초 체력과 건강 상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 하며, 무용과 필라테스의 융합이 대중 건강 관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무용수의 건강 관리에서 시작하여 일반인의 웰니스 증진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무용수와 일반인 모두를 대상으로 한 필라 테스 프로그램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Ⅱ. 프로그램 개발과 무용수 건강 증진

    본 장에서는 발레 무용수의 흉추가동성을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소개한다(임준희, 2018). 발레 무용수는 반복적이고 고강도의 동작 수행으로 인해 요추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며, 이로 인해 만성 요통을 겪는 경우가 많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요통은 주로 흉추의 경직으로 인한 보상작용이 요추에 과부하를 주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Edmondston & Singer, 1997). 이에 발레 무용수의 요추 통증 예방을 위해 흉추가동성 개선에 초점을 맞춘 운동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Singer & Giles, 1990).

    한편, 필라테스는 신체 균형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운동으로 ‘자연스러 운 근육 조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태생부터 발레와 인연이 깊은 필라테스는 무용수가 쉽고 편안하게 재활 도구로 삼는 이유가 된다(임준희, 2018;Aheam, 2006).

    흉추가동성을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DAT-10-1-51_F1.gif

    1. 연구자 준비

    본 연구자는 2014년, 미국 밸런스드 바디(Balanced body)의 매트(Mat) 및 기구 전체 과정(Trapeze table, Reformer, Chair, Ladder barrel)교육을 이수하고 관련 전문 지도자 자격을 취득하였다. 같은 해, 자이로토닉(GYROTONIC®) 국제 자격증(International GYROTONIC®Certificate)을 취득하였다. 2017년에 는 척추재활의 전문가인 스튜어트 맥길(Dr. Stuart M. McGill) 교수의 Building the Ultimate back 교육을 이수하였다.

    2. 목표 설정: 요구도 조사

    본 연구의 두 번째 단계인 목표설정을 위한 요구도 조사는 발레 무용수들 과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림 2>와 같은 절차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요구도 조사 인터뷰에 참여한 대상은 <표 1>과 같다.

    그림 2

    요구도 조사 절차

    DAT-10-1-51_F2.gif
    표 1

    요구도 조사 대상

    구분 참여자 정보 인원 내용
    발레 무용수
    • 발레 경력: 평균 15년·K 발레단 소속 직업 무용수

    • 요통 호소·과도한 요추 가동범위·흉추가동성 확보 희망

    5 요구도 조사 인터뷰 : 6문항
    전문가 집단 정형 외과 전문의 의학박사, 정형외과 의사 1 요구도 조사 인터뷰 : 5문항
    물리 치료 전문가 임상경력 15년 이상 물리치료사 2
    필라 테스 전문가 필라테스 지도자 Trainer, 현장 경력 10년 이상의 필라테스 강사 2

    요구도 조사를 위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는 각 집단의 특성과 전문성을 고 려하여 개발되었다. 이는 각 집단의 고유한 관점과 경험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차별화된 질문지 구성을 통해 각 집단의 고유한 인사이 트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실용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발레 무용수 집단(5명)의 응답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경험하는 문제점과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고, 전문가 집단의 다양한 배경은 프로그램 개발 에 다각적인 시각을 제공했다. 정형외과 전문의의 의학적 견해, 물리치료 전 문가의 재활 관점, 그리고 필라테스 전문가의 운동 처방 노하우가 모두 반영 되었다. 각 집단의 응답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 탕으로 프로그램의 기본 골격을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때로는 상충되는 의견들이 있었지만, 연구자의 중재와 각 전문 분야 간의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갈 수 있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프로그램의 다각적 검증과 실효성 있는 개발을 가능 케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발레 무용수들의 실제 필요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 가들의 식견이 균형 있게 반영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다. 특히, 의학, 재활, 운동 과학의 관점이 통합되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하 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3.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도 검증

    가.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구성 원리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토대로 두었다.

    첫째, 광범위한 문헌자료의 심층 분석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둘째, Balanced Body Pilates Method에서 제시하는 10가지 필라테스 움직임 원칙 중 본 연구의 목적인 흉추가동성 확보에 부합하는 4가지 핵심 원칙 ; 호흡(Breathing), 요추-골반 안정성(Lumbopelvic stability), 척추 강화 및 운동 성 확보(Strengthening & Mobilizing the spine), 이완된 움직임(Release work) 등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수행한 요구도 조사의 결 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반영하였다. 프로그램 단계 구성 및 회차별 목표설정 등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된 요구도 조사 내용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된 요구도 조사 내용

    프로그램 단계 요구도 조사 대상 요구도 조사 내용
    [1단계] 신체 · 심리 이완 정형외과 전문의
    • 상지와 하지를 연결해주는 핵심중추인 흉추는 호흡으로서 조절해야 함을 언급

    • 운동역학 측면에서 Thoracic movement 자체가 제한되어 있으므 로 호흡의 중요성 강조

    • Thoracic movement system에서 중요한 호흡 훈련을 통해 프로 그램 초반, 우선적으로 몸을 이완시키길 요구

    물리치료 전문가
    • 관절의 유동성에 대한 한계를 설명하며 보다 효과적인 훈련을 위해 프로그램 초반, 근육 이완의 필요성 강조・프로그램 개발, 훈련 시 이완부터 접근해야 함을 요구

    •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정확하게 해당 근육을 이완 한 후, 프로그램 을 실시했을 때 더욱 효과적임을 언급

    필라테스 전문가
    • 프로그램 초반, 마사지 볼을 사용하여 요추, 천골, 견관절을 이완시 키고 본 운동에 들어가길 권장

    • 근육이 잠겨있는 상태에서 움직임을 실시하면 요추에 과부하가 걸 리게 되므로 본 운동 전, 이완의 필요성 강조

    • 움직임이 원활해지고 가동성을 보다 더 확보하기 위해 프로그램 초 반 이완 시 호흡을 활용할 것을 추천

    [2단계] 흉추 가동성 확보 발레전문 무용수
    • 요추통증 완화를 위하여 흉추 부위의 가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 요구

    • 흉추부터 쓰려하지만 쉽지 않고, 결국 요추를 과하게 쓰게 됨을 호소

    • 흉추에 관련한 운동은 한 적 없다고 언급하며 흉추를 제대로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배우고 싶은 의지 보임

    정형외과 전문의
    • 신전(Extension) 움직임을 위해 광배근(Latissimus dorsi)을 당겨 주면서 견갑골(Scapular)을 모으는 방식의 매달리기 운동 권장

    • 굴곡(Flexion) 움직임을 위해 오직 흉추(Thoracic spine)를 충분 히 굽힐 수 있게 하는 Crunch 훈련 권장

    • 흉추가동성 확보를 통해 요추에 과하게 실린 힘을 아래쪽으로 분산 시키길 요구

    • 어깨운동범위가 떨어지거나 흉추(Thoracic spine)의 보상작용 (Compensation)을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지 않는 Upper back pain을 호소하는 무용수에게 적극 권장

    물리치료 전문가
    • 흉추의 문제는 보통 모빌리티가 떨어져서 발생하므로 흉추에서 나 오는 모든 움직임들을 무용수가 원할 때 언제든 수행 가능하게 가동 성을 만들어 놓아야 한다고 강조

    • 회전(Rotation), 사이드 밴드(Side bend), 신전, 굴곡 움직임 요구

    • 흉추를 세분화시켜 운동 포인트를 짚어 내길 요구

    • TL junction 부분을 다루어야 하므로 상부요추(L1, L2)까지 포함 시키길 권장

    필라테스 전문가
    • 요추, 경추의 움직임을 배제하기 위해 소도구 활용 권장

    • Core 잡기 ⟶ 불안정한 pad를 사용해서 요추 고정 ⟶ 흉추 신전/ 굴곡 움직임 훈련 순서로 진행 요구

    • 흉추의 신전, 굴곡, 측굴, 회전 움직임 훈련 제안

    • 관절가동범위 이상으로 근육을 과하게 늘린다던가, 인대 손상이 올 정도로 과하게 쓰지 않아야 함을 강조

    • 흉추와 연관되어 있는 견관절과 요추부분 다룰 것을 요구

    [3단계] 신체 재구조화 발레전문 무용수
    • 해부학적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몸을 계속 쓰다 보니 통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재교육 요구

    • 몸에 대한 정확한 교육의 필요성이 느껴진다고 이야기하며 발레전문 무용수 생활을 건강하게 오랫동안 할 수 있도록 신체인지 교육 요구

    정형외과 전문의
    • 대상자에게 흉추의 가동범위가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해 설명해주길 요구

    • 상지와 하지를 연결해주는 핵심중추로서 가교역할을 하는 흉추의 중요성을 현수교 개념으로 인지시켜주길 요구

    • Thoracic movement system에서 호흡의 중요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해주길 제안

    물리치료 전문가
    • 전문무용수인 경우 흉추의 운동성에 대한 인지가 꼭 필요하다며 인 지교육의 필요성 강조

    • 흉추구조에 대한 개념을 확실하게 인지시킬 것을 요구

    • 척추중립에 대한 개념을 확립시켜 평상시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지 도해서 무용수 수명을 연장시키는 방향으로 가길 권장

    필라테스 전문가
    • 무용수들이 자신 몸(관절)의 가동범위를 정확히 인지하고 훈련에 임 해야하므로 신체인지 교육의 필요성 언급

    • 훈련에 앞서서 자신의 몸을 인지하고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주길 바란다고 요구

    • 효과적인 재활을 위해 발레전문무용수들 자신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를 느끼게 하는데 많은 시간 할애하길 권장

    흉추가동성을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5주 동안 주 2회, 40분씩 총 10회 실시하는 것을 권장한다. 적용 기간 및 시간, 회차 구성은 임의로 제시한 것이므로 대상자의 상황에 맞게 재구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 단계는 신체·심리 이완, 흉추가동성 확보, 신체 재구조화의 3단계로 나뉜다. 프로그램의 회차별 목표 는 1-2회 현 상태 인지 및 평가를 시작으로 3-4회 흉추의 회전 기능의 회복, 5-6회 측굴 기능의 회복, 7-8회 신전 기능의 회복, 9-10회 굴곡 기능의 회복 으로 마무리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흉추가동성을 확보하여 발레 무용수의 재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프로그램 구성

    1-2회 3-4회 5-6회 7-8회 9-10회
    목표 현 상태 인지 및 평가 회전 기능의 회복 측굴 기능의 회복 신전 기능의 회복 굴곡 기능의 회복
    단 계 신 체 · 심 리 이 완 1 정형학적 평가 Breathing Breathing Breathing Breathing
    2 Breathing Skull Clock Roll Down/ Roll Up Roll Down/ Roll Up Skull Clock
    3 Roll Down/ Roll Up Pelvic Clock Pelvic Clock Pelvic Clock Pelvic Clock
    4 Cat/Camel Hip Dips Typewriter Knee Stirs Hip Dips
    5 Knee Stirs Roll Up/ Roll Down Knee Stirs Bridging Rolling Like a Ball


    흉 추 가 동 성 확 보

    1 Pelvic Clock Telescope Arms Side Leg Banana Single Leg Kicks Small Roll Up/Roll Down
    2 Bridging Pinwheel Top Leg Lift Double Leg Kicks Neck Pull
    3 Hip Circles Spine Twist Spine Stretch Side Swimming Roll Over
    4 Tail Wag Saw Mermaid Swan Jacknife
    5 Mini Swan/Swan Crisscross Side Bend Mermaid Swan Dive & Swan Rocking Hundred
    6 Telescope Arms Side Bend Twist Tail Wag Rocking Spine Stretch Forward
    신 체 재 구 조 화 1 정형학적 평가(재평가) 4th Port de bras, Failli Side cambre Back cambre Petit port debras
    2 Pilates의 원리 Renversé Jeté fermé Arabesque/ Attitude Front port debras
    3 해부학 이론교육 해부학 이론교육 Balancé (왈츠스텝) Grand battement 정형학적 평가(재평가)

    본 연구자가 개발한 발레 무용수의 흉추가동성을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 은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지닌다.

    첫째, 무용수들의 신체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둘 째, 개발 된 프로그램의 추후 적용 대상자가 될 발레 무용수들과 전문가 집 단의 1:1 요구도 조사를 통해 개발되었다. 셋째, 고된 훈련으로 인해 변형된 발레 무용수의 몸을 중립으로 가져오려는 크로스 트레이닝(Cross-trainning) 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넷째, 현재 무용계에서 주목하고 있지 않은 부 위인 흉추가동성 확보에 집중하였다.

    나.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주요 필라테스 동작은 흉추가동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회전 · 측굴 · 신전 · 굴곡 기능의 회복을 위한 동작을 포함,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흉추가동성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타당성은 정형외과 전문의, 물리치료 전문가 그리고 필 라테스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검증되었다. 프로그램의 안정성 · 효과성 · 적용 가능성 및 운동 구성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필요한 경 우 수정 · 보완 작업을 수행하였다.

    Ⅲ. 실전 적용: 여대생 대상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

    1. 연구 대상 및 절차

    본 연구에서는 발레 무용수 대신 여대생 100명을 대상으로 15주간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비록 프로그램이 흉추가동성에 중점을 둔 것은 아니지만, 필라테스의 기본 원칙인 신체 정렬과 중심 강화 및 근육의 신장이 흉추의 가동성을 개선(이정민, 2024)하는 데에도 기여할 가능성이 있 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절차 및 수행 내용은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연구 절차 및 수행 내용

    단계 수행 내용 방법
    1 문헌 수집 및 분석, 연구자 전문성 확보
    • 관련 선행 연구 및 논문 검토

    • 필라테스 전문가 자문

    2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 발레 필라테스의 효과 가설 설정

    3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 개발
    • 필라테스 전문가와 협업하여 프로그램 설계 및 난이도 조정

    4 기초체력 및 지각된 건강 상태 측정 방법 선정
    • 근지구력: 1분간 윗몸일으키기, 스쿼트, 팔굽혀펴기

    • 유연성: 좌전굴 VIC-T-112

    • 평형성: 눈 감고 외발서기

    • 지각된 건강 상태: 해당 설문지

    5 연구 대상 선정
    • 여대생 100명, 참여 동의서 작성

    • 표집 방법: 편의표본추출법

    6 사전 검사(pre-test) 실시
    • 기초 체력 및 유연성 테스트

    • 건강 상태 인식 설문 조사

    7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 적용
    • 매트 운동 주 1회, 총 15주 동안 실시, 1회에 70분간 진행

    • 웜 업(warm-up)과 쿨 다운(cool-down): 프로그램 전/ 후 각 15분간 실시

    • 본 운동(main exercise): 40분간 실시

    8 사후 검사(post-test) 실시
    •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체력 및 건강 상태 인식 재측정

    9 자료 분석 및 결과 도출
    • SPSS/WIN 18.0 프로그램: 검사항목의 평균값(M)과 표 준편차(SD) 산출

    • 변인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대응 표본 t 검정

    연구 대상자 표집 방법은 비확률적 표집 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 하였다. 연구자는 이 연구의 목적과 운동 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후 자발적으 로 원하는 대상을 선정하여 절차에 따라 명시적 동의를 얻은 후 본 프로그램 을 실시하였다.

    여대생들에게 적용된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전신 유연성, 근지구력, 평형성을 목표로 구성되었으며, 흉추를 포함한 척추의 가동성 개선과 자세 교정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2. 측정 도구

    측정항목은 기초체력(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과 지각된 건강 상태 검사 로 한정하였다. 모든 측정항목은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 종료 후에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항목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기초체력

    ① 근지구력

    근지구력은 신체 부위별(코어, 하지, 상지)로 1분간 윗몸일으키기, 스쿼트, 팔굽혀 펴기를 각각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③ 유연성

    유연성은 좌전굴 측정기(VIC-T-112)를 사용하여 체전굴 검사로 측정하였 다. 측정 방법은 대상자가 무릎을 신전하고 발끝을 약 5cm 벌린 자세로 앉은 후, 상체를 최대한 전방으로 굴곡하여 중지 끝이 2초간 정지한 지점의 수치 를 기록하였다. 측정은 총 2회 실시하여 최고값을 채택하였다.

    ③ 평형성

    평형성은 정적 평형성 검사인 눈감고 외발서기 검사(Single Leg Stance with Eye Closed)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한 상태에 서 양팔을 측방 외전하고, 눈을 감은 후 한쪽 다리를 들어 올려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좌우 각각 2회씩 실시하여 최고 기록을 채택하였다.

    나. 지각된 건강 상태

    지각된 건강 상태는 개인이 인식하는 주관적 건강 상태를 의미한다. 측정 도구는 Ware(1976)의 건강지각 도구와 Speake et al.(1989)의 자기지각 건강 도구를 기반으로 홍영상(1998)과 이영익(2007)이 재구성한 설문지를 수정·보 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현재의 전반적 건강 상태, 일상생활 지장 정 도, 동일 연령대 대비 건강 인지도를 측정하는 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1점: 매우 나쁨 ~ 5점: 매우 좋음)로 평가한다. 총점은 1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건강 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5로 나타났다.

    3.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

    여대생에게 적용된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매트 운동 주 1회, 총 15주 동안 실시하였고, 1회에 70분간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 전·후 웜 업(warmup) 과 쿨 다운(cool-down)은 각 15분간 실시하였으며, 본 운동(main exercise) 은 40분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 시 반영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기초 동작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무용수들이 선호하는 동작들을 중심으로 각 동작의 효과와 난이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동작들이 난이도 조절을 통해 일반인들도 수행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별된 동작들을 바탕으로 일반인 대상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무용 동작을 기반으로 일반인들이 따라하기 쉬운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그 과정에서 무용과 필라테스 간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구성은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

    Ballet Pilates Program Intensity
    Warm-up (15min)
    1. breathing & neutral spine : 8reps

    2. neck stretching : 3reps × each

    3. lateral flexion with port de bras : 2reps × each

    4. shoulder release & prt de bras : 8reps

    5. turn in & turn out with retrie : 5reps

    6. pelvic stabilization & hamstring stretching with thera band : 4reps × each

    40-50% HRmax
    Main exercise (40min) 1-5 weeks
    1. bridging with port de bras : 8reps

    2. toe taps : 10reps

    3. hundred preparation : 4reps

    4. hundred standard : 2reps of 50

    5. small leg circles with parallel & turn out position : 6reps × each

    6. double straight leg stretch with turn out position : 8reps

    7. rolling like a ball : 10reps

    8. side grand battement with turn out position : 8reps × each

    9. side lying passe : 8reps × each

    10. baby swan : 6reps

    11. single leg kicks : 8reps × each

    12. double leg kicks : 6reps

    55-65% HRmax
    Main exercise (40min) 6-10 weeks
    1. bridging with type writer : 5reps

    2. hundred : full set

    3. large leg circles with parallel & turn out position : 6reps × each

    4. single leg stretch : 8reps

    5. double leg stretch : 10reps

    6. dolphin with parallel & turn out position : 6reps × each

    7. side grand battement with turn out position : 8reps × each

    8. side lying passe kick : 8reps × each

    9. bananas : 6reps × each

    10. swan with en haut : 5reps

    11. double leg kicks : 8reps

    12. alternative arms & leg lift : 10reps

    13. swimming : 10-20reps

    14. knee push-up : 8-10reps

    15. plank : 10-30sec

    65-75% HRmax
    11-15 weeks
    1. shoulder bridging : 5reps

    2. hundred : full set

    3. single straight leg strtch with turn out : 8reps

    4. criss cross : 10reps

    5. teaser 1 : 6reps

    6. saw : 2reps

    7. 7. opens leg rocker : 6reps

    8. side leg big circles with turn out position : 6reps × each

    9. side leg bicycle : 6reps × each

    10. side lying passe kick : 8reps × each

    11. side bend mermaid : 6reps

    12. side plank : 10-30sec × each

    13. double leg kicks : 6reps

    14. swan dive with en haut : 6reps

    15. swan rocking : 6reps

    16. leg pull down : 3reps

    17. knee push-up : 10-12reps

    18. plank : 10-30sec

    75-85% HRmax
    Cool-down (15min)
    1. telescope arms : 3reps × each

    2. head nods : 5reps

    3. elevation & depression of scapular : 6reps

    4. ballet stretching

    5. cat/camel : 8reps

    6. standing balance with parallel & turn out position : 5reps × each

    7. reverence

    40-50% HRmax

    4.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효과

    본 실험의 결과분석을 위해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사항 목의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15주간의 프로그램 전·후의 각 변인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및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15주간 연구 결과, 다음의 <표 6>과 같이 대상 자들은 대부분의 검사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표 6

    발레 필라테스 효과 검정 결과

    (N=100)
    사전검사 사후검사 사전·사후차이 t
    근지구력 윗몸일으키기 평균 19.31 21.48 2.17 1.525
    표준편차 10.47 9.30
    스쿼트 평균 42.22 52.42 10.21 4.940***
    표준편차 16.68 10.76
    팔굽혀 펴기 평균 12.46 16.92 4.46 3.366**
    표준편차 9.85 9.13
    유연성 평균 13.59 16.64 3.05 2.023*
    표준편차 10.39 8.96
    평형성 오른발 외발서기 평균 29.55 46.99 17.45 4.546***
    표준편차 23.82 32.56
    왼발 외발서기 평균 27.41 47.71 20.29 5.246***
    표준편차 20.25 33.04
    지각된 건강 상태 현재 건강상태 평균 2.70 3.33 .63 4.998***
    표준편차 0.82 0.90
    1년 전과 비교 평균 2.70 3.34 .64 5.082***
    표준편차 0.94 0.88
    다른 사람과 비교 평균 2.60 3.15 .55 4.580***
    표준편차 0.82 0.89

    *p<.05, ** p<.01,*** p<.001

    근지구력 측면에서는 스쿼트(t=4.940, p<.001)와 팔굽혀 펴기(t=3.366, p<.01) 에서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특히 스쿼트의 높은 t 값은 다리 근력 강화 에 프로그램이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낸다. 반면, 윗몸일으키기는 통계 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t=1.525), 평균 점수는 소폭 상승했다(평균 차 이=.53).

    유연성과 평형성 부문에서도 큰 개선이 있었다. 좌전굴 검사로 측정된 유 연성(t=2.023, p<.05)과 눈감고 외발서기로 평가된 평형성(오른발: t=4.546, 왼 발: 5.246, p<.001)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프로그램이 관절, 근 육, 건의 신장성을 향상시키고, 외복사근과 대둔근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자 세와 신체 정렬을 개선한 결과로 해석된다(임준희, 2021).

    지각된 건강 상태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현재: t=4.998, 1년 전 비교: t=5.082, 다른 사람 비교: t=4.580, p<.001). 이는 필라테스 프로그 램 참여와 지각된 건강 상태 사이에 강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 다(r=.625, p<.001).

    한편, 15주간의 프로그램 중 운동 강도 70-85% 수준의 프로그램을 적용한 기간이 5주에 불과했고, 주당 운동 횟수가 1회였다는 점이 복근 강화의 통계 적 유의성 부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운동 강도, 빈도, 기간을 조정하여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흉추가동성 변화만을 집중적으로 측정하지는 않았지만, 프로그램을 통해 상체 유연성과 자세 교정이 개선되었으며, 이는 흉추가동성에도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황진아 외 3인, 2023). 대상자들의 허리 통증 감소와 유연성 증진은 필라테스의 전신 운동 효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흉추를 포함한 척추의 전반적인 가동성 또한 향상되었을 가능성 이 존재한다. 이는 흉추가동성을 목표로 한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무용수뿐 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논의: 무용수와 일반인에게 적용 가능한 필라테스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여대생들에게 적용된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흉추가동성 에 직접적인 초점을 맞추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신체 기능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그리고 지각된 건강 상태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라테스의 특성상 척추의 유연성과 가동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필라테스가 자세 교정과 신체 정렬 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만큼, 무용수들의 흉추 문제와 연관 지어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는 흉추가동성을 직접 적으로 측정하고, 프로그램이 무용수의 부상 예방과 건강 증진에 어떻게 기 여할 수 있는지를 더 구체적으로 탐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의 세부 난이도 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복근 강화 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부족했던 점을 고려할 때, 운동 강도와 빈도의 재 검토가 요구된다.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전체 프로그램 구성 중 70-85% 수준의 운동 강도로는 5주 동안 주 1회만 진행된 점을 감안하여, 후속 연구 에서는 운동 강도, 빈도, 기간을 체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결 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발레 무용수를 위한 흉추가동성 향상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개 발 과정을 소개하고,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일반인에게 확장 적용한 결 과를 분석함으로써 필라테스의 효과와 대중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2018년, 연구자가 개발한 발레 무용수 대상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무용수 들의 신체적 특성, 특히 요추 통증 예방과 흉추가동성 향상을 목표로 설계되 었으며,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문헌 수집과 전문가 자문, 무용수 피드백을 통한 검증 단계를 거쳐 완성되었다.

    이후,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일반 대중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2021 년에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15주간의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에서는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그리고 지각된 건강 상태 등 신체 및 심리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무용수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일반인의 전반적인 신체와 심리 기능 향상에도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 준다. 특히,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기초 체력, 자세 교정, 심리적 측면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냈으며, 대상자들이 이를 명확하게 인식했 다. 이러한 결과는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무용수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도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으로서 대중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연령대 와 신체 조건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확장 적용하여 더 넓은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프로그램의 운동 강도, 빈도, 기간을 체계적으 로 조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무용과 필라테 스의 대중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대중의 건강 증진과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DAT-10-1-51_F1.gif

    프로그램 개발 절차

    DAT-10-1-51_F2.gif

    요구도 조사 절차

    Table

    요구도 조사 대상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된 요구도 조사 내용

    프로그램 구성

    연구 절차 및 수행 내용

    발레 필라테스 프로그램

    발레 필라테스 효과 검정 결과

    <sup>*</sup>p<.05, <sup>*</sup><sup>*</sup> p<.01,<sup>*</sup><sup>*</sup><sup>*</sup> p<.001

    Reference

    1. 이정민 ( 2024). 매트 vs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이 청년기 아마추어 탁구 선수의 흉추 가동성, 복부 근지구력과 동적 균형 능력의 비교 분석.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스포츠의학과 석사 학위논문.
    2. 임준희 ( 2018). 발레전문무용수의 흉추가동성을 위한 Pilates 프로그램 개발. 국민대학교 일반대 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박사학위논문.
    3. 임준희 ( 2021). 발레 필라테스 참여가 여대생의 기초체력과 지각된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9(2), 171-188.
    4. 황진아・윤진호・박한수・오재근 ( 2023). 12주간의 대면과 비대면 필라테스 운동이 젊은 여성의 체력, 삶의 질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21(1), 447-458.
    5. Ahearn, E. L. ( 2006). The Pilates method and ballet technique: Applications in the dance studio. Journal of Dance Education, 6(3), 92-99.
    6. Edmondston, S. J., & Singer, K. P. ( 1997). Thoracic spine: Anatomical and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manual therapy. ManTher. 2(3), 132-140.
    7. Singer, K. P., & Giles, L. G. ( 1990). Manual therapy considerations at the thoracolumbar junction: An anatom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 J Manipulative Physiol Ther, 13(2), 83-88.

    저자소개

    Foot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