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춤 건강교육은 심신의 조화로운 활동이라는 춤 교육의 궁극적 목표를 이 루기 위해 전공생들의 건강 관련 이슈를 이해하고 실천방법을 적용한다. 부 상, 탈진, 재활, 영양섭취, 스트레스 관리와 같은 무용인들의 건강 문제를 보 다 합리적인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과학적 지식을 가르치고 건강한 생 활습관을 유지하도록 돕는다(Overby, et al, 2007, Peterson, 2011).
춤 건강교육의 목표는 육체적인 건강뿐 아니라 자신이 추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영역에서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다. 부상은 무용수 경력의 일부라고 할 만큼 무용수들 대부분 부상과 재활을 경험한다. 무용수들은 일반인에 비해 통증에 대한 역치가 높기 때문에 고통을 잘 참아 내는 경향이 있다(Tajet & Rose, 1995). 자신의 통제력으로 무조건 견디는 것 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부상과 통증을 합리적으로 이겨나가는 방법을 배워 야 한다. 무용수 스스로 과훈련 징후를 알아차리고 적절한 연습시간과 훈련 강도를 조절하며, 부상 후 재활 과정에서 관절 압박을 피할 수 있는 동작 방식을 터득하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실천적 교육을 통해 어려운 문제 에 부딪히더라도 삶을 조화롭게 성숙시키고, 공연 활동과 현실적 삶에서 균 형을 찾으면서 무용수 그 이상의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어야 한다.
‘필라테스’는 무용 전공생들의 건강을 위한 실천적 교육과정으로 적용되 어왔다. 본 연구에서 먼저, 무용수들의 건강과 관련한 필라테스 교육의 가치 를 언급한다. 그다음, 춤 건강 필라테스 교육과정에서 정신적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내용과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무용 전공생들이 건 강 문제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역량을 계발해 주는 필라테스 교육 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Ⅱ. 춤 건강 필라테스 교육의 가치
춤 건강 (Dance Wellness) 교육은 환경적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계발한다. 자신의 상태를 인식하고 조절해 나가면서 개인의 건강을 능동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배운다. 공연 활동과 관련된 특수한 상황에서 개인의 능력이나 상태를 알아차리고 노력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 방 법이 적용된다(Clark et al, 2014). 춤 건강 교육내용은 첫째, 해부학, 생리학, 운동 과학, 생체 역학, 신체요법, 무용 부상, 영양, 개인 건강, 심리학과 운동 학습 등 운동 과학적 지식이 포함된다(Overby, et al, 2007, Peterson, 2011). 신체구조 및 체력, 수행심리, 동작 기술 특성 등 무용 수행과 관련된 요인들 을 다룬다. 둘째, 최고수행을 위한 동작 기술-체력-정신훈련 방법을 배우고 적용한다. 건강(wellness)과 최고수행(peak performance)을 이끌어 주는 운동 과학지식과 기초적 훈련방법들을 실기연습과 공연 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나경아 외, 2018, Watkins et al, 1990).
무용수들은 강도 높은 동작 훈련을 반복하면서 통증과 부상을 겪는다. 부 상이나 통증이 있더라도 가능하면 신체활동을 지속해야 운동능력 소실을 막 을 수 있다. 부상 때문에 훈련을 쉬면 급속한 근육 손실이 발생하고, 근육의 힘이나 관절의 유연성뿐 아니라 근 신경 조절능력이 약화 되어 회복하기 어 려운 상태가 된다. 부상과 재활을 어떻게 관리하는지가 무용수의 생명을 좌 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무용수들은 자신의 부상이나 통증 양상을 이해하 고 대처할 수 있도록 보강 운동을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Clarkson et al, 1888).
필라테스는 신체 불균형과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운동법으로 무용수 건강 과 최고 수행(peak performance)을 위해 적용된다. 무용수의 척추를 길고 강하게 만들며, 코어 안정성과 유연성에 효과적인 컨디셔닝 프로그램이다(Peterson, 2011). 무용 전공생을 위한 필라테스 수업은 뉴욕주립대학에서 로마나 (Romana Kryzanowska, 1923~2013)가 가르쳤던 ‘신체교정(Body Correctives)’ 에서 시작되었다. 필라테스 훈련은 근육 운동의 지각을 바로잡고 자기인식 능력을 발전시킨다. 따라서 부상 후 재활 과정에서 신체 기능을 회복시키고 동작 방식을 재구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바르고 균형 잡힌 신체, 정서적 안정, 신체조절 능력 향상, 에너지 효율성, 동작 기술 발전에 도움을 준다.
무용수들의 심신훈련방법으로 적용되어 온 필라테스는 조셉(J. H. Pilates, 1883-1967)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수많은 의학적 처치의 오류, 잘못된 습 관, 운동 부족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올바른 운동법 을 제시하였다(Pilates, 1934). 신체를 건강하게 조절하고 유지하도록 정신과 영혼의 조화를 강조하는 그의 운동법은 정신의 힘으로 몸을 조절한다는 의 미에서 컨트롤로지(contrology)로 명명되었다. 호흡과 함께 몸의 중심 근육을 단련하여 척추를 지지하고, 몸의 균형을 바로잡는 조셉의 운동철학과 방법 이 현재까지 이어진다(Pilates, J. H & Miller W. J.1945).
필라테스 훈련에서 호흡과 함께 리드미컬하게 에너지가 흘러가도록 조절 한다. 호흡은 자율신경 균형으로 심리 상태를 안정시키고 신체적 긴장 반응 을 조절해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균형하게 고착된 협응 패턴이 개선되고, 근 신경 조절능력이 향상된다. 몸의 중심부가 강화되어 척추 움직임이 안정 되면 몸의 불균형과 약점이 서서히 개선된다. 또한 무용수의 만성적 척추 문제들이 개선되어 허리 통증이 줄어든다. 이처럼 필라테스 운동은 신체를 아름답고 효율적으로 움직이도록 전반적인 근골격계 기능을 개선해 주기 때 문에 발레, 현대무용뿐 아니라 다양한 춤 훈련에 도움이 된다 (Friedman & Eisen, 1980). 코어가 강화되어 신체 중심축이 바르게 세워져 전신을 조화롭 게 조절할 수 있으며, 유연하면서도 단단하고 길게 근육이 형성되므로 무용 수의 바디 이미지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
Ⅲ. 필라테스 교육과정
정신의 힘으로 몸을 조절(control)하는 움직임 경험을 핵심으로 필라테스 교육과정이 구성된다. 수업에서 수행해야 할 목표는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 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수업 목표에 따라 수업내용-방법-평가가 일관성 있게 조직된다. 수업의 단계는 수업대상의 인지 수준에 따라, 동작 과제의 복잡성 에 따라 이루어진다.
필라테스 동작은 아주 간단한 복근 운동 혹은 스트레칭으로 여겨질 수 있다. 동작 자체는 단순하지만 스스로 자세와 움직임을 자각하고 동작의 원 리를 적용하는 학습 과정은 단순하지 않다. 움직임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자부심이 높은 무용수들이 고착된 자세와 동작 습관에서 벗어나기 위해 움 직임의 기본 원리를 처음부터 다시 경험해야 한다. 누운 자세에서 코어의 힘으로 몸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때, 신체 기능의 내적 연결성이 새롭게 경험된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올바른 자세와 동작 원리를 자신의 몸에 적용하기 위해 정신적 능력이 중요하다.
근신경 제어 과정은 인지적 조절 단계에서 시작되어 자동화 단계로 진행 된다. 고착된 습관적 자세나 동작에 대한 감각 인식의 오류를 자각하도록 다양한 학습 피드백이 적용된다. 반복적 연습과 훈련과정에서 제공되는 적 절한 피드백은 뇌의 기능, 기억, 사고과정, 문제해결, 감정 등의 영향을 주어 신체를 조절하는 신경체계 작용을 돕는다. 외부에서 제공되는 학습정보와 이를 받아들여 처리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동작 수행이 영속적으로 변화하 는 운동학습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연습과 훈련을 통해 보이지 않는 내 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김기웅 외, 2007, Schmidt, 1988).
필라테스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 신체의 수많은 신경과 근육이 상호작용하 면서 일정한 협응 패턴이 재구성되어 신체 조절능력이 변화한다. 이를 위해 동작의 원리를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반응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인지-정서- 심동적 영역의 학습 목표를 체계화한다. 학습 목표는 지속적인 학습경험이 제공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이끌어 간다.
1. 학습 목표
필라테스 학습 목표는 인지적, 정서, 심동적 영역에서 구체화 된다. 단계적 수업의 목표에 따라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수업이 결정된다. 각각 영역에 서 활동 수준이 낮은 것에서부터 높은 수준으로 학습 목표가 구성된다. 인지 적 영역에서 그 복잡성의 원리에 따라 지식 - 이해 - 적용 - 분석 - 종합 - 평가 단계로 구분되고 단순한 정신 능력에서 고등 정신 능력으로 발전된다. 정서적 영역에서 ‘흥미’나 ‘태도’와 관련된 주의. 반응. 가치화. 조직화. 복합 적 기치로 구성된다(표1). 심리 운동적 영역에서 신체적 행위를 통한 신체 능력과 기능으로 구성된다. 반사적 운동, 초보적 운동, 운동지각능력, 신체적 운동 기능, 숙련된 운동, 동작적 의사소통이다(Krathwohl, et al, 1964).
표 1
인지-정서적 목표(Kassing, G. & Jay, D. M.,2003)
인지적 목표 | 정서적 목표 | |
---|---|---|
|
||
인식 | ![]() |
수용 |
이해 | 반응 | |
적용 | 가치 | |
분석 | 조직화 | |
종합 | 복합적인 가치의 특성화 | |
평가 |
필라테스 학습의 인지적 목표는 인간 신체와 동작의 기본 원리 그리고 필라 테스 동작에 대한 이해이다. 첫째, 움직임을 실행하는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몸은 복잡한 요소와 관계로 이루어진다. 척추를 중심 으로 관절 형태에 따른 운동 방향성을 이해하고, 복잡한 근육조직으로 연결성 을 이해한다. 무엇보다도 몸을 중심부에 복횡근(transverse abdominus), 횡격막 (diaphragm), 골반 저근(pelvic floor), 다열근(multifidous)으로 구성된 코어 근 육에서 전신의 연결성을 이해한다. 둘째, 필라테스의 동작 체계의 이해이다. 동작의 형태뿐 아니라 동작의 원리인 호흡(Breathing), 집중(Concentration), 조 절(Control), 중심잡기(Centering), 정확성(Precision), 움직임 흐름(Flowing Move ꠓment)을 이해하고 적용한다. 사전 운동, 매트 운동, 기구 운동에 적용되는 동작들의 요소와 관계를 적용, 분석, 종합, 평가한다.
정서적 목표에서 학습에 관심을 보이는 선별적 태도, 정보를 받아들이는 의지를 나타내는 수용적 태도가 중요하다. 수업에서 보이는 열의와 만족스 러운 정서적 반응이 수업의 가치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지속적인 동기를 부여한다. 정서적 목표에서 학습의 가치를 개념화하고 단계적으로 발전시킨 다. 최종적으로 일반적 가치를 수용하여 특정 가치로 발전하는 단계에 이른 다. 동작에 관한 지식이 수용되면, 관심이 생기고 만족스러운 반응이 이어진 다. 이러한 정서적 반응으로 수업의 가치가 내면화된다. 학습 과정에서 움직 임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느끼면서 자각이 일어나면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능동적인 학습이 진행된다(Kassing, G. & Jay, D. M.,2003).
심리 운동적 목표는 기본적 호흡 운동에서 시작된다. 코어의 힘이 전신으 로 뻗어 나가면서 운동의 단계적 목표가 발전된다. 몸의 중심에서 말단 부분 까지 연결성 발달은 단순한 반사 운동에서 점차 복잡한 행동의 단계로 이행 된다(Barrenieff, 1980). 반복적인 학습이 진행되면서 복잡한 움직임의 요소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물리적인 힘 그리고 환경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2. 학습 내용
학습 내용은 사전(preliminary mat) 운동, 매트(mat) 운동, 기구(apparatus) 운동으로 구성된다. 척추의 가동성과 코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하지의 고관 절, 무릎, 발목 그리고 상지의 어깨관절, 팔꿈치, 손목까지 기능적 원리를 따 라 동작 감각 오류를 탐색하고 조절하도록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무용수들 의 곧은 자세는 과도하게 일자목이거나 편평 등인 경우가 있다. 동작 기술을 수행할 때, 주로 한쪽 부분을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척추가 한쪽으로 휘고 골반이 기울거나 뒤틀어지게 된다. 몸 상태에 대한 자각이 없이 운동하면 불균형이 더욱 심해진다. 객관적 기준에 근거한 신체 기능을 이해하고, 춤 스타일의 훈련방식에 따른 특수성 그리고 개인 차이를 고려하면서 동작을 적용해 나간다. 사전 운동에서는 코어의 힘과 척추의 관계를 연결하기 위해 느린 속도로 진행한다. 매트 운동에서 느린 속도로 적응한 이후 점진적으로 속도를 높이면서 리듬감 있게 반복 횟수를 늘려간다. 기구 운동에서 동작에 따라 적절한 힘의 저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프링 강도를 조절한다.
가. 사전 운동
동작을 시행하기 전에 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근육 긴장 없이 코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준비 자세를 만든다. 고관절과 허리의 긴장을 줄 이기 위해 무릎을 세우고 바닥에 누운 자세에서 시작한다. 내적 감각으로 몸을 느끼면서 호흡을 한다. 코를 통해 숨을 마시고 입으로 숨을 완전히 내 뱉는다. 호흡과 함께 전신의 혈류가 증가하고 심신이 이완된다. 호흡에 따라 흉곽의 팽창과 수축을 느낀다. 배꼽을 중심으로 하복부의 변화를 느낀다. 배 꼽에서 척추 방향으로 내리고 치골에서 천골 방향으로 내리면서 심부 근육 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동작 감각에 집중한다.
근육 긴장 없이 골반을 기울이며 척추 신전과 굴곡을 느낀다. 정수리에서 꼬리뼈까지 에너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동작 감각에 집중한다. 척추 중립상 태에서는 허리 아래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 배꼽을 바닥으로 내 리는 임프린트(imprint) 자세에서 엉덩이 근육을 수축하지 않고 배꼽을 바닥 으로 깊게 내린다(Diefenderfer, 2023).
코어가 안정된 이후에 팔, 다리 움직임을 연결한다. 어깨와 고관절을 천천 히 움직이면서 견갑골에서 손끝까지, 고관절에서 발끝까지 연결한다. 상하, 좌우, 교차하는 사지 협응 동작을 하면서 코어와의 연결성을 찾는다. 처음에 는 느리고 섬세하게 움직이다가 점차 중심에서 밖으로 뻗어낸 상태로 사지 를 조절한다. 머리와 꼬리뼈, 견갑골과 손, 미골과 발뒤꿈치를 연결성을 생각 하며 움직인다(Barrenieff, 1980).
다리를 올리고 내리면서 배꼽 중심으로 복부의 압력을 유지한다. 팔을 머 리 위로 뻗어 올리고 내리면서 상복부의 힘을 연결한다. 팔을 앞으로 뻗어내 리며 척추를 굴곡 하면서 복부를 말아 올릴 때, 배꼽을 척추 쪽으로, 치골에 서 천골 쪽으로 앵커링(anchoring)한다. 숨을 내쉬면서 척추를 굴곡할 때, 어 깨와 목이 긴장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호흡과 함께 배꼽이 척추 쪽에 가까워 지면서 척추가 늘어나는 것을 느낀다. 척추 굴곡 동작을 반복하면서 점차 코어의 힘이 깊어지고 전신으로 뻗어간다. 척추를 뻗어내면 코어가 더욱 단 단하게 유지된다(Diefenderfer, 2023).
나. 매트 운동
고전 필라테스 동작은 조셉이 고안한 34개(Pilates & Miller, 1945)로 시작 되었다. 이후 로마나의 제자들에 의해 60여 개 동작으로 정리되었다(표 2). 준비 자세, 동작 순서와 호흡, 주의사항 등의 지침이 제시되었다(Friedman & Eisen, 1980).
표 2
필라테스 동작 (Friedman & Eisen, 1980)
기초 동작 | 전체 동작 | 기타 |
---|---|---|
The Hundred | The Hundred | Backstroke swimming |
Roll up | Roll up | Thigh stretch 1,2 |
Leg circles | Roll over | Knee stretch |
Rolling | Leg circles | Upright chair stretch |
Single leg stretch | Rolling | Forward chair stretch |
Double leg stretch | Single -leg stretch | Rowing |
Spine stretch | Double -leg stretch | Beanbag |
The saw | Spine stretch | Head roll |
Side Kick | Open- leg rocker 1,2 | Bend & stretch |
Seal | Corkscrew 1,2,3 | Standing thigh stretch |
The saw | Office-wall plie | |
Swan dive, 1,2 | Reach for the sky | |
Single -leg kick | The Roll-down | |
Double- leg kick | Imaginary chair | |
Rest position | Stair climber | |
Neck pull | ||
Scissors | ||
Bicycle | ||
Shoulder bridge | ||
Spine twist | ||
Jackknife | ||
Side kick | ||
Side kick variation 1,2 | ||
side kick lift | ||
Teaser 1,2,3 | ||
Hip circles | ||
Leg-pull front | ||
Leg pull | ||
Twist 1,2 | ||
Swimming | ||
Boomerang | ||
Seal 2 | ||
Rocking | ||
Control balance | ||
Push up |
필라테스 매트 동작에서 헌드레드(hundred), 롤업(roll up), 롤링(rolling), 스 파인 스트레치(spine stretch), 더 쏘우(the saw), 씰(seal)은 코어의 힘으로 척추 를 굴곡한 상태에서 수행한다. 렉서클(leg circle), 싱글렉스트레치(single leg stretch), 더블렉스트레치(double leg stretch), 사이드킥(side kick)은 고관절에 서 다리를 뻗으면서 전신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롤오버(roll over), 잭나이 프(jackkinfe), 컨트롤발란스(control balance)는 다리를 머리 뒤로 넘길 때, 코 어의 힘으로 안전하게 수행한다. 스완 다이브(swan dive), 스위밍(swimming), 다리를 뻗어 차는 싱글렉킥(single leg kick), 더블렉킥(double leg kick), 렉풀 프로트(leg pull front)는 엎드린 자세에서 코어의 힘으로 척추를 뻗어내면서 동작을 수행한다.
누운 자세, 앉은 자세, 엎드린 자세에서 동작을 수행할 때, 견고한 중심으 로부터 뻗어내는 힘을 유지한다. 척추의 굴곡과 신전할 때 척추뼈 하나씩 분절할 수 있도록 코어의 힘으로 몸통을 조절한다. 다리는 고관절에서 분리 되어 밖으로 당겨지고, 팔은 견갑골로부터 당겨져 나가는 힘을 느끼면서 동 작을 수행한다. 팔, 다리를 뻗을 때, 무릎이나 팔꿈치가 과신전이 되면 동작 연결성이 끊어진다. 손끝과 발끝이 보이지 않는 힘에 매달려 있다는 상상을 하면서 수행한다(Friedman & Eisen, 1980).
호흡이 멈추지 않고 일정하게 흘러가도록 조절한다. 내적 감각에 집중하 면서 동작을 수행하면 필라테스의 동작이 전체적으로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 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몸의 중심부인 코어가 안정되면 신체 균형이 유지되 고, 목과 어깨의 긴장이 줄어든다. 바닥에 닿는 부분에서 앵커링이 안정적으 로 유지되면 전신 움직임이 수월해진다. 안정된 코어의 힘으로 사지 운동을 연결하면서 점차 반복 횟수를 늘려나간다.
다. 기구 운동
리포머 캐딜락, 체어 등 기구를 이용하여 저항 운동을 한다. 리포머(Reformer) 는 척추를 지지한 상태에서 스프링과 끈으로 저항을 이기며 근육을 움직이도 록 돕는다. 캐딜락(Cadillac)은 안정적인 매트 위에서 고정된 바와 스프링 바를 이용해 상지와 하지의 가동성을 확장한다. 체어(Chair)는 앉은 자세 혹은 서거 나 누운 자세에서 스프링을 이용하여 척추 굴곡-신전-회전하면서 팔-다리 동 작을 연결한다. 기구의 물리적 힘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약하거나 경직된 신체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한다(Diefenderfer, 2023).
3. 학습 방법
학습 목적에 따라 학습자의 능력에 맞는 연습의 빈도, 강도, 시간, 유형을 고려한다. 효과적인 연습을 위해 수업에서 진행되는 연습의 순서, 연습시간과 휴식시간 배분, 연습시간 등을 계획한다. 동작 과제의 조직성(task organization) 과 복잡성(task complexity)에 따라 연습할 동작 단위를 결정하고, 연습과정에 서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적용한다(김기웅 외, 2007. Magill, 2001).
동작 연습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수행 조건은 학습에 영향을 준다. 처음에는 학습조건을 일정하게 맞추어 연습하면 수행력이 향상된다. 점차 연습상황에서 여러 가지 다른 동작을 섞어서 연습하거나 기구나 소도구를 이용한다. 좀 더 복잡한 연결 동작을 수행하면서 정보를 능동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동작 과제를 다양하게 적용하면 과제 간의 간섭으로 전이가 촉진된다(Lee & Magill, 1983).
동작 연습을 반복하면서 학습자 스스로 불편한 증상, 자세에 대한 느낌, 활력 등의 변화를 감각을 통해 느끼게 된다. 이러한 피드백은 움직임과 관련 된 정보를 제공해 준다. 고유수용감각으로 자기 신체의 공간적 위치와 관련 감각을 느끼게 될 때, 처음에는 신체 각 부분의 위치나 근육의 움직임을 느끼 면서 자세를 유지하거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습관에 의해 형성된 동작감각의 오류로 인하여 기능조절에 어려움이 초래된다. 코어 운동은 외부 에서 관찰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학습자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천천히 움 직이면서 동작을 수행한다. 감각 경로를 통해 자신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얻는 내적 피드백을 통해 몸을 조절한다(Schmidt.& Wrisberg, 2000).
교사는 보이지 않는 물리적 힘의 저항을 상상하면서 몸을 조절하도록 다 양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학생들 스스로 중력의 저항을 가장 효율적으로 분 산시키는 중립 자세를 편하게 느끼고, 각각의 동작들에 필요한 요소에 집중 하면서 몸을 조절하도록 돕는다. 교사가 제공하는 학습정보는 청각, 시각, 촉각을 통한 전달된다. 청각적 피드백은 동작 조절에 필요한 정보를 소리로 제공한다(Schmidt.& Wrisberg, 2000). 학습 과정에서 음악을 제공하면 리듬감 있게 동작 흐름을 이끌어 줄 수 있고, 심리적 안정에도 도움이 된다(나경아, 2021). 음성 언어를 사용한 지시어는 동작 정보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필 라테스에서 사용하는 지시어는 ‘배꼽에서 척추 쪽으로(navel to spine)’, ‘치골 에서 천골 쪽(pubic bone to sacrum)’, ‘턱이 가슴으로(chin to chest)’ 등 수행의 특징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전달한다(Friedman & Eisen, 1980). 지시어는 동작 관련 심상 magery)에 도움이 된다. 학습 단계 초기에는 단순하고 선명한 단 어를 사용한다. 골반을 기울일 때, ‘공을 굴리듯’이라고 하거나, 척추 축을 곧게 유지하기 위해 ‘긴 막대기처럼’이라는 지시어를 사용한다. 학습 단계가 진행될수록 다양한 은유적 지시어를 사용한다. 지시어를 통해 보이지 않는 신체 내부기관의 움직임과 외적인 힘의 저항을 실재적으로 느낄 수 있다. 지시어를 통한 심상은 근육과 신경 활동에 도움이 된다(Franklin, 1996),
시각적 피드백은 학습정보를 시각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직접 시범을 보이는 모델링이나 영상이나 사진을 사용한다. 시각적 피드백은 수행해야 할 과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학습자의 수행을 관찰하는 자료로 활용 된다. 신체의 구조와 기능적 원리로 동작 기술을 분석해서 정보를 제공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촉각을 통한 피드백은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통해 정확한 부분의 근 신경 활성화를 도와준다. 직접적 접촉은 즉각적으로 동작 감각의 오류를 탐지하고 조절하도록 돕는다. 청각, 시각, 촉각을 함께 적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동작 과제를 제시할 때, 언어적 지시와 함께 동작 시연을 직접 보여주거나, 손으로 신체를 터치해 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영상과 사진을 언어 적 설명과 함께 제공하면 수행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학습 과정에서 지나친 피드백은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다. 학습자의 정보처리 역량을 고려하 여 피드백 방법과 빈도를 적절히 제공한다(김기웅 외,2007, Magill, 2001).
Ⅳ. 결론
춤 건강(Dance Welllness) 교육은 훈련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예측하 고 대처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춤과 관련된 개인의 삶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을 해결하는 능동적인 실천능력을 키워준다. 개인을 둘러싼 환경 속에서 유 기적으로 기능하고 성장하는 다차원적 인간발달을 고려한다(나경아, 2021, Cardinal, 1996, 2018). 춤의 본질적 가치를 실현하고 건강한 인간발달의 과정 을 이끄는 춤 건강(Dance Wellness)의 개념에는 ‘무용수를 위한 건강(Wellness for Dancers)’과 ‘건강한 춤(Wellness Dance)’이 포함된다(Clark, 2014. Potter, 2017).
무용훈련에서 전통적 방식이 아닌 합리적인 훈련법에 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이다. 무용, 체육과학, 의학 분야가 함께 연구한 결과 무용 수와 교사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이 마련되었다(Clarkson, 1888). 그러나 아직은 무용수에 관한 기초자료가 충분하지 않고, 무용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의사들이 부족하며, 수술이나 약물을 통해서 무용수가 원하는 회복목표에 도 달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의학적 치료를 받아들이기 위해 오랜 시간 연습을 중단해야 한다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무용전공생들이 훈련과 정에서 발생하는 부상 치료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Russell, 2013). 이들의 부상과 통증을 직접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교내외 의료서비스의 협력이 필요 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무용 전공생들이 스스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스스로 개인적인 건강이 슈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자기인식 능력을 높여주 는 교육이 함께 발전해야 한다.
무용 전공생들을 위한 춤 건강(Wellness for Dancers)교육은 공연 활동의 과중한 압박과 신체 과훈련 속에서 합리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돌보는 힘을 길러준다. 자신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 어쩔 수 없는 부상 상황을 맞이하더 라도 부상을 훈련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며 이겨나갈 수 있다. 부상과 재활 과정을 겪어나가면서도 도전과 성취를 지속할 수 있다. 무용수 스스로 건강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어떤 상황 속에서도 자신이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필라테스 교육은 직접적으로 춤과 함께 살아가는 무용 전공생들의 인생에 서 건강을 관리하는 실천적 방법으로써 혹독한 훈련과 공연의 압박감 그리 고 부상과 재활을 견뎌내도록 개인적 역량을 강화한다. 무대를 위한 삶뿐 아니라 개인적 삶의 통합적 가치를 실현하게 된다. 조셉을 만났던 무용수들 은 필라테스 운동으로 삶이 회복되었으며 동시에 필라테스 발전을 위한 귀 중한 자원을 제공했다. 무용수들은 춤 활동에서 만난 부상이라는 절망적인 한계상황 속에서 필라테스를 통해 심신을 건강하게 만드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강인한 정신력, 탁월한 운동 감각 능력, 풍부한 동작 경험, 창조적 예술성을 지닌 무용수들이 스스로 건강을 찾으면서 필라테스를 발전시켜왔 다 (Friedman & Eisen, 1980).
필라테스의 교육적 가치는 무용수들의 신체-정신적인 측면에서 조화와 균 형을 만드는 실천적 방법이라는 점이다. 교육과정에서 정신 운동의 관점으 로 학습 목표, 내용,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조셉이 강조 한 정신적 운동으로써 필라테스의 가치에 집중하고, 동작을 통해 스스로의 몸을 알아갈 수 있는 능동적 학습 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필라테스 학습으 로 동작만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몸에 대한 생각과 느낌이 달라져야 한다. 오랜 기간 자신이 움직여 온 방식을 바꾸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움직임 방 식이 확고하게 형성된 무용수들에게 움직임에 관한 재학습이 이루어지기 위 해 정신적 학습 목표 그리고 교사의 지식과 경험에서 나오는 적절한 학습 피드백 방법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춤 건강 필라테스 교육과정’에 관한 연 구가 무용 전공생들 스스로 건강을 찾아가도록 길을 안내하는 교사들을 위 한 지침으로 적용되기를 바란다. 필라테스 교육을 통해 ‘인간 움직임에 대한 보편적 원리에 근거한 경험적 탐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면 무용수 개인 의 건강뿐 아니라 창조적 능력을 발휘하도록 이끌어 줄 것이다.